건강 바로보기
입술이 화끈
자연처럼
2011. 4. 7. 17:04
脾
脾胃者倉廩之官 五味出焉
脾主運化 (運輸)
脾主統血 生血
脾主肌肉 四末 (四肢)
脾主開竅於口 其華在脣
脾主運化 (運輸)
脾主統血 生血
脾主肌肉 四末 (四肢)
脾主開竅於口 其華在脣
한자로 도배 했다구요...?
뜻을 알려면 아무래도 한자가 등장 해야 하니까요.
저걸 다 설명 해내려 가면 몇시간도 걸릴수 있지만....
이중에서
脾開竅於口 其華在脣
脾開竅於口 其華在脣
비개규어구(脾開竅於口) 기화재순(其華在脣)
비(脾)는 구(口)에 반응되며 비(脾)의 화(華)는 순(脣)에 나타난다
비(脾)는 구(口)에 반응되며 비(脾)의 화(華)는 순(脣)에 나타난다
그래서 입술이 화끈거린다는 것은 비장에 이상이 있다고 보는 거지요.
그러니 화끈거리는데요?
소화는 잘 되나요? 등등 비위관련 물음을 던져야 하는거지요.
소화는 잘 되나요? 등등 비위관련 물음을 던져야 하는거지요.
'비' 얘기 하다가 '비위'가 왜 되느냐구요?
위경이 입술 위아래 부근을 유주 하니까 위의 영향도 있고
비위가 서로 표리지간이니까 비장에 이상이 잇을 때는 위에도 이상이 있을거라 보는 거지요.
병의 전경이 경락>부(위)>비(장) 이렇게 된다고 보니까요.
일단 비장을 보면 비장은
족태음비경이라고 하니까 비장이 가지는 태음(습/濕)의 과다에 의해
이상이 생기기 쉬운 것입니다.
즉 비습이 많지 않느냐... 이렇게 되는거지요.
여기서는 화끈 거린다니까 열이 있는 것이라 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그래서 구분 할 것이
이 화끈거림이 습열인지를 우선 봐야 하고
다음은 물이 부족하여 (음허) 열이 생기는 화끈거림인지를 구분해야겠지요.
어렵다 어려워~~
걍 보면 알 수도 있지요.
화끈 거린다는데 그사람 입술이 말라서 갈라지는 것 같은가를 보는거지요.
촉촉하냐 말랐느냐 보는 거지요.
무슨 얘기인지 아시겠지요.
그리고 희선배님 처럼 기타 증상을 곁들어 물어 보아 최종 판단을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