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 주

{ 우리나라 역대 제왕 과 국통 }

by 자연처럼 2010. 11. 2.





1. 환국(桓國) 환인 계표 (7대, 재위년수 : 3301년 )

1대 안파견(安巴堅) 환인(B.C.7197,)
2대 혁서(赫胥) 환인,
3대 고시리(古是利) 환인,
4대 주우양(朱于襄) 환인,
5대 석제임(釋提任) 환인,
6대 구을리(邱乙利) 환인,
7대 지위리(智爲利) 단인(檀仁이라고도 한다)


 

 

 


2. 신시배달국 환웅 계표 (18대, 재위년수 : 1,565년)

1대 거발한 환웅(居發桓, 94, B.C.3897, 120세, 일명 배달 환웅)
2대 거불리 환웅(居佛理, 86, B.C.3803, 102세)
3대 우야고 환웅(右耶古, 99, B.C.3717, 135세)
4대 모사라 환웅(慕士羅, 107, B.C.3618, 129세)
5대 태우의 환웅(太虞儀, 93, B.C.3511, 115세)
6대 다의발 환웅(多儀發, 98, B.C.3419, 110세)
7대 거련 환웅(居連, 81, B.C.3320, 140세)
8대 안부련 환웅(安夫連, 73, B.C.3239, 94세)
9대 양운 환웅(養雲, 96, B.C.3166, 139세)
10대 갈고 환웅(葛古 또는 독로한(瀆盧韓), 96, B.C.3070, 125세)
11대 거야발 환웅(居耶發, 92, B.C.2970, 149세)
12대 주무신 환웅(州武愼, 105, B.C.2878, 123세)
13대 사와라 환웅(斯瓦羅, 67, B.C.2773, 100세)
14대 자오지 환웅(慈烏支, 109, B.C.2706, 일명 치우천황, 151세)
15대 치액특 환웅(蚩額特, 89, B.C.2597, 118세)
16대 축다리 환웅(祝多利, 56, B.C.2453, 99세)
17대 혁다세 환웅(赫多世, 72, B.C.2452, 97세)
18대 거불단 환웅(居弗檀, 48, B.C.2380, 일명 단웅(檀雄), 82세)


 

 

 


3. 단군조선 단군 계표 (47대, 재위년수 : 2,096년)

가. 송화강 아사달(하얼빈)시대: 초대 단군임검∼21세 소태(蘇台) (B.C.2333∼1286 : 1048년간)

1대 단군 왕검(王儉, 93, B.C.2333) : 14세 되던 갑진년(B.C.2357)에 웅씨(熊氏)의 왕에 의해 비왕(裨王)으로 임명되어 24년간 대읍(大邑)을 다스린다.
2대 부루 단군(扶婁, 58, B.C.2240, 태자)
3대 가륵 단군(嘉勒, 45, B.C.2182, 태자)
4대 오사구 단군(烏斯丘, 38, B.C.2137, 태자)
5대 구을 단군(丘乙, 16, B.C.2099, 羊加)
6대 달문 단군(達門, 36, B.C.2083, 牛加)
7대 한율 단군(翰栗, 54, B.C.2047, 羊加)
8대 우서한 단군(于西翰, 8, B.C.1993, ? )
9대 아술 단군(阿述, 35, B.C.1985, 태자)
10대 노을 단군(魯乙, 59, B.C.1950, 牛加)
11대 도해 단군(道奚, 57, B.C.1891, 태자)
12대 아한 단군(阿漢, 52, B.C.1834, 牛加)
13대 흘달 단군(屹達, 61, B.C.1782, 牛加)
14대 고불 단군(古弗, 60, B.C.1721, 牛加)
15대 대음 단군(代音, 51, B.C.1661, ? )
16대 위나 단군(尉那, 58, B.C.1610, 牛加)
17대 여을 단군(余乙, 68, B.C.1552, 태자)
18대 동엄 단군(冬奄, 49, B.C.1484, 태자)
19대 구모소 단군( 牟蘇, 55, B.C.1435, 태자)
20대 고홀 단군(固忽, 43, B.C.1380, 牛加)
21대 소태 단군(蘇台, 52, B.C.1337, 태자)

나. 백악산 아사달(農安·長春) 시대: 22세 색불루(索弗婁)∼43세 물리(勿理) (B.C.1285∼426 : 860년간)

22대 색불루 단군(索弗婁, 48, B.C.1285, 욕살 고등의 아들로 우현왕을 거쳐 단군으로 즉위)
23대 아홀 단군(阿忽, 76, B.C.1237, 태자)
24대 연나 단군(延那, 11, B.C.1161, 태자)
25대 솔나 단군(率那, 88, B.C.1150, 태자)
26대 추로 단군(鄒魯, 65, B.C.1062, 태자)
27대 두밀 단군(豆密, 26, B.C.997, 태자)
28대 해모 단군(奚牟, 28, B.C.971, ? )
29대 마휴 단군(摩休, 34, B.C.943, ? )
30대 내휴 단군(奈休, 35, B.C.909, 태자)
31대 등올 단군(登 , 25, B.C.874, 태자)
32대 추밀 단군(鄒密, 30, B.C.849, 아들)
33대 감물 단군(甘物, 24, B.C.819, 태자)
34대 오루문 단군(奧婁門, 23, B.C.795, 태자)
35대 사벌 단군(沙伐, 68, B.C.772, 태자)
36대 매륵 단군(買勒, 58, B.C.704, 태자)
37대 마물 단군(麻勿, 56, B.C.646, 태자)
38대 다물 단군(多勿, 45, B.C.590, 태자)
39대 두홀 단군(豆忽, 36, B.C.545, 태자)
40대 달음 단군(達音, 18, B.C.509, 태자)
41대 음차 단군(音次, 20, B.C.491, 태자)
42대 을우지 단군(乙于支, 10, B.C.471, 태자)
43대 물리 단군(勿理, 36, B.C.461, 태자)

다. 장당경(開原) 시대 : 44세 구물(丘勿)∼47세 고열가(古列加)
(B.C.425∼B.C.238 : 188년간)

44대 구물 단군(丘勿, 20, B.C.425, 욕살) : 장당경에서 즉위. 나라 이름을 대부여라 고침 삼한(三韓)을 삼조선(三朝鮮)으로 개정
45대 여루 단군(余婁, 55, B.C.396, 태자)
46대 보을 단군(普乙, 46, B.C.341, 태자)
47대 고열가 단군(高列加, 58, B.C.295, 대장군) : 계해 58년(B.C.238) 단군조선을 폐관하고 입산 수도하여 신선이 되었다. 이후 6년간 오가(五加)들이 함께 다스린다.

☆ 환국시대∼단군조선시대 : 총 72대, 6,962년



 

 


4. 마한(馬韓)국 마한계표(35대?)

가. 마한세가 상(上)

1대 웅백다(熊伯多) : 단군 왕검에 의해 마한국에 봉함을 받아 달지국(達支國)에 도읍하였으며, 55년간 재위
2대 노덕리(盧德利, ? )
3대 불여래(弗如來, B.C.2229)
4대 두라문(杜羅門, B.C.2180)
5대 을불리(乙弗利, ? )
6대 근우지(近于支, B.C.2136)
7대 을우지(乙于支, B.C.2107)
8대 궁호(弓戶, ? ) : 을우지(乙于支)의 동생
9대 막연(莫延, ? ) : 두라문(杜羅門)의 동생, 두라시(杜羅時)의 2대손.
10대 아화(阿火, B.C.1939) : 막연의 동생
11대 사리(沙里, B.C.1864)
12대 아리(阿里, B.C.1806) : 사리의 동생.
13대 갈지(曷智) (BC1716)
14대 을아(乙阿, B.C.1633)
15대 두막해 (豆莫亥, B.C.1550)
16대 독로(瀆盧, B.C.1472)
17대 아루(阿婁, B.C.1371)
18대 아라사(阿羅斯, B.C.1323) : 阿婁의 동생

나. 마한세가 하(下)

19대 여원흥(黎元興, ? ) : 조선의 욕살로 색불루에 의해 마한으로 임명
20대 아실(阿實, B.C.1232)
21대 아도(阿 , ? ) : 아실(阿實)의 동생
22대 아화(阿火, B.C.1031)
23대 아사지(阿斯智, B.C.995) : 아화(阿火)의 동생
24대 아리손(阿里遜, B.C.934) : 아화지의 아들 25대 소이(所伊, ? )
26대 사우(斯虞, B.C.814)
27대 궁홀(弓忽, B.C.737)
28대 동기(東杞, ? )
29대 다도(多都, B.C.588)
30대 사라(斯羅, B.C.509)
31대 가섭라(迦葉羅, ? )
32대 가리(加利, ? )
33대 전나(典那, B.C.425) : 가리(加利)의 손자
34대 진을례(進乙禮, ? )
35대 맹남(孟男) (BC366, ? )

※ 진한의 멸망을 전후하여 마한도 멸망하였다고 추정한다.


 

 

 


5. 번한(番韓)국 번한계표(74대)

가. 번한세가 상(上)

1대 치두남(蚩頭男, ? ) : 치우의 후손
2대 낭사(琅邪, B.C.2311)
3대 물길(勿吉, B.C.2238)
4대 애친(愛親, B.C.2187)
5대 도무(道茂, ? )
6대 호갑(虎甲, B.C.2098)
7대 오라(烏羅, B.C.2072)
8대 이조(伊朝, B.C.2015)
9대 거세(居世, B.C.1975) : 伊朝의 동생
10대 자오사(慈烏斯, B.C.1960)
11대 산신(散神, B.C.1946)
12대 계전(季佺, B.C.1893)
13대 백전(伯佺, B.C.1864)
14대 중전(仲佺, B.C.1826) : 백전의 동생 15대 소전(少佺, B.C.1770)
16대 사엄(沙奄, B.C.1727)
17대 서한(棲韓, ? ) : 沙奄의 동생
18대 물가(勿駕, B.C.1664)
19대 막진(莫眞, B.C.1660)
20대 진단(震丹. B.C.1614)
21대 감정(甘丁, B.C.1608)
22대 소밀(蘇密, ? )
23대 사두막(沙豆莫, ? )
24대 갑비(甲飛, ? ) : 사두막(沙豆莫)의 계부
25대 오립누(烏立樓, B.C.1441)
26대 서시(徐市, ? )
27대 안시(安市, B.C.1393)
28대 해모라(奚牟羅, B.C.1352)
29대 소정(小丁, B.C.1333) : 소태 단군이 우사(雨師) 소정을 번한으로 임명.

나. 번한세가 하(下)

30대 서우여(徐于餘) ? 단군 색불루가 수유족(須臾族)인 서우여를 번한에 임명
31대 아락(阿洛, B.C.1224) : 수유족에 의해 일시 점령되었던 번한을 번한족이 되찾았다.
32대 솔귀(率歸, B,C,1184)
33대 임나(任那, B,C,1137)
34대 노단(魯丹, B,C,1105) : 임나(任那)의 동생
35대 마밀(馬密, B.C.1092)
36대 모불(牟弗, B.C.1074)
37대 을나(乙奈, B.C.1054)
38대 마휴(麻 , B,C,1014)
39대 등나(登那, B.C.1012) : 마휴(麻 )의 동생
40대 해수(奚水, B.C.983)
41대 오문루(奧門婁, B.C.942)
42대 누사(婁沙, B,C,894)
43대 이벌(伊伐, B.C.866)
44대 아륵(阿勒, B,C,840)
45대 마휴(麻休 혹은 목(沐), B.C.836)
46대 다두(多斗, B.C.785)
47대 내이(奈伊, B.C.752)
48대 차음(次音, B.C.722)
49대 불리(不理, B.C.676)
50대 여을(餘乙, B.C.676)
51대 엄루(奄婁, B.C.647)
52대 감위(甘尉, ? )
53대 술리(述理, B.C.613)
54대 아갑(阿甲, B.C.603)
55대 고태(固台, B.C.588)
56대 소태이(蘇台爾, B.C.574)
57대 마건(馬乾, B.C.556)
58대 천한(天韓, B.C.545)
59대 노물(老勿, B.C.535)
60대 도을(道乙, B.C.520)
61대 술휴(述休, B.C.505)
62대 사양(沙良, B.C.471)
63대 지한(地韓, B.C.453)
64대 인한(人韓, B.C.438)
65대 서울(西蔚, B.C.400)
66대 가색(哥索, B.C.375)
67대 해인(解仁 혹은 산한(山韓), B.C.341)
68대 수한(水韓, B.C.340)
69대 기후(箕 , B.C.323) : 일명 기자조선의 시작으로 수유족(須臾族)이다.
70대 기욱(箕煜, ? )
71대 기석(箕釋, B.C.290)
72대 기윤(箕潤, B.C.251)
73대 기비(箕丕, B.C.232)
74대 기준(箕準, B.C.221)

※ B.C.194년 위만(衛滿)의 꼬임에 빠져 패하고 멸망하였다.




 

 


6. 부여 단군계표(7대)

가. 북부여기 상(上) : 해모수(解慕漱)계의 역사

1대 해모수(解慕漱, B.C.239) : 본래 고리국(藁離國) 사람으로 웅심산(熊心山)을 내려와 군대를 일으켰으며 궁실을 난변(蘭邊)에 쌓았다. 즉위 8년(B.C.232)에 오가(五加)들을 회유하여 공화의 정치를 철폐하고 단군으로 추대됨
2대 모수리(慕漱離, B,C,194)
3대 고해사(高奚斯, B.C.169)
4대 고우루(高于婁 혹은 해우루(解于婁), B.C.120)

나. 북부여기 하(下) : 동명(東明)계의 역사

5대 고두막(高豆莫, B.C.108) : 졸본(卒本 : 지금의 심양)에서 즉위하고 스스로 동명(東明)이라 하였다.
6대 고무서(高無胥) (B.C.59) : 둘째 딸<禮氏>을 고주몽의 아내로 삼게 하였으며, 고주몽과 예씨 사이에서 유리(琉璃 : 孺留)가 태어난다. 민심을 크게 얻어 소해모수라 불렸다.

☞ 일반적으로 1대에서 4대까지를 북부여, 5대 이후를 졸본부여라 나누어 부른다.

다. 가섭원부여(3대 B.C.86∼AD22) : 해모수(解慕漱)계, 동부여

1대 해부루(解夫婁, B.C.86) : 북부여 4대 고우루(高于婁)의 동생. 고우루가 죽자 동생으로 왕위에 올랐으나, 고두막에게 쫓기어 가섭원(길림방면)에 나라를 열었다.
2대 금와(金蛙) (B.C.47)
3대 대소(帶素) (B.C.8)

※ A.C.22년 고구려 대무신왕에 의해 멸망.



 


7. 고구리 왕계표
[왕(王), 태왕(太王), 대왕(大王) - 28대 726년(B.C.58∼A.C.668)]

1대 고주몽(朱蒙, 芻慕, B.C.58) : 해모수의 둘째 아들 고구려후 고진(高辰)의 3대 손(해모수의 4대손). 가섭원부여(동부여)에서 고진(高辰)의 손자 고모수<高慕漱 : 본명은 불리지(弗離支)>와 하백(河伯)의 딸 유화가 만나 임인년(B.C.79)에 고주몽이 태어난다. 가섭원부여(동부여 : 해모수계) 사람들이 그를 죽이려하므로 북부여(동명계)로 도망, 고무서(高無胥 : 북부여 6세 단군)의 사위가 되어 23세에 대통을 잇게 되나 하부여인이 그를 죽이려 하므로 동남쪽으로 도망 졸본천(卒本川)에서 고구려를 세운다.
2대 유리명(琉璃明, 孺留, B.C.19) : 고주몽과 예씨(禮氏) 사이에서 태어남.
3대 대무신(大武神, A.D.18) : 대해주류왕. 휘(諱)는 무휼(無恤), 막래(북사). 母는 다물국 송양의 딸 송씨부인. 유리왕의 셋째 아들.
4대 민중(閔中, A.D.44) : 휘(諱)는 해색주(解色朱). 대무신왕의 동생.
5대 모본(慕本, A.D.48) : 휘(諱)는 해우(解憂), 해애루. 대무신왕의 원자.
6대 태조(太祖, A.D.53) : 국조왕. 휘(諱)는 궁(宮). 유리왕의 2대손.
7대 차대(次大, A.D.146) : 휘(諱)는 수성(遂成). 태조왕의 동생.
8대 신대(新大, A.D.165) : 휘(諱)는 백고(伯固), 백구(伯句). 태조왕의 막내동생.
9대 고국천(故國川, A.D.179) : 휘(諱)는 남무(男武), 이이모(북사). 신대왕의 次子.
10대 산상(山上, A.D.197) 휘(諱)는 연우(延憂) , 위궁(位宮). 신대왕의 3자. 고국천왕의 아우
11대 동천(東川, A.D.227) 동양왕. 휘(諱)는 우위거(憂位居). 태자
12대 중천(中川, A.D.248) 중양왕. 휘(諱)는 연불(然弗). 태자
13대 서천(西川, A.D.270) 서양왕. 휘(諱)는 약노(藥盧) , 약우(若友). 차자
14대 봉상(烽上, A.D.292) 치갈왕. 휘(諱)는 상부(相夫) , 삽시루. 태자
15대 미천(美川, A.D.300) : 호양왕. 휘(諱)는 을불(乙弗) , 우불(憂弗). 서천왕 2대손. 서천왕의 아들 고추가 돌고의 아들.
16대 고국원(故國原, A.D.331) 국강상왕. 휘(諱)는 사유(斯由), 쇠(釗). 태자
17대 소수림(小獸林, A.D.371) 소해주류왕. 휘(諱)는 구부(丘夫). 태자
18대 고국양(故國壤, A.D.384) 휘(諱)는 이련(伊連) , 지지(只支) 소수림왕의 아우.
19대 광개토(廣開土, A.D.392) 호태왕, 영락대왕. 휘(諱)는 담덕(談德). 태자
☞ 시호는 국강상 광개토 평안호태왕(國岡上 廣開土境 平安好太王)으로, 그 뜻은 '국강상 동강에 묻힌, 국가 영토를 크게 넓히시어 천하를 평안하게 하신, 백성들이 사랑하는 위대한 임금님'
20대 장수(長壽, A.D.413) 휘(諱)는 거련(巨連).
21대 문자명(文咨明, A.D.492) : 명치호왕. 휘(諱)는 나운(羅雲). 장수왕 2대손. 父는 조다(助多).
22대 안장(安藏, A.D.519) 휘(諱)는 홍안(興安).
23대 안원(安原, A.D.531) 휘(諱)는 보연(寶延). 안장왕의 아우.
24대 양원(陽原, A.D.545) 양강상호왕. 휘(諱)는 평성(平成).
25대 평원(平原, A.D.559) 평강상호왕. 휘(諱)는 양성(陽成), 탕(북사).
26대 영양(영陽, A.D.590) 휘(諱)는 원(元), 대원
27대 영류(營留, A.D.618) 휘(諱)는 건무(建武), 성(成). 영양왕의 이복동생.
28대 보장(寶藏, A.D.642) 휘(諱)는 장(臧). 영류왕의 아들 태양왕의 아들.

※ A.D.668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



 


8. 백제 왕계표
[왕명 : 왕(王) - 성(性) : 부여(夫餘) - 32대 678년(B.C.18∼A.D.660)]

1대 온조(溫祚, B.C.18) : 북부여 해부루(海夫婁)의 서손(庶孫)인 우태(優台)와 소서노(召西努) 사이에서 탄생한다. 비류(沸流)는 친형이며 고주몽은 의붓아버지. 나라 이름을 온조(溫祚)백제 -십제로 하고 수도를 위례성(慰禮城)으로 하였다.
2대 다루(多婁, A.D.28)
3대 기루(己婁, A.D.77)
4대 개루(蓋婁, A.D.128)
5대 초고(肖古, 소고(素古), A.D.166)
☞ 초고왕 이전에는 왕 명칭이 'X婁王'이다가 초고왕 때부터 갑자기 고(高) 자나 구(仇) 자가 들어가는 왕 명칭으로 바뀐다. 이는 초고왕 때부터 온조백제의 왕통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 A.D.205년 7월 장춘(長春) 방면의 부여왕 위구태(慰仇台)가 부여 무리를 이끌고 공손강(公孫康)이 지금의 황해도 지방에 설치한 대방군으로 이동하여 구태백제(九台百濟)를 세우고 월지(月支) 즉 온조백제와 익산 금마 마한을 정복하였다.
6대 구수(仇首, 귀수(貴須), A.D.214) : 초고왕의 장자
7대 구이(仇台, A.D.234) : 개루왕의 아들.
대방백제왕에서 백제국의 제위에 오름.
8대 사반(沙伴, A.D.238) : 구수왕의 장자.
9대 고이(古 , A.D.239) : 개루왕의 次子.
10대 책계(責稽, 청계(靑稽), A.D.286)
11대 분서(汾西, A.D.298)
12대 비류(比流, A.D.304) : 구수왕의 아들.
13대 계(契, A.D.344)
14대 근초고(近肖古, A.D.346)
15대 근구수(近仇首, 휘수(諱須), A.D.375)
16대 침류(枕流, A.D.384)
17대 진사(辰斯, A.D.385) : 근구수왕의 아들.
☞ 진사왕은 A.D.392년 10월 광개토왕의 공격을 받고 고구려에 항복한다. 그해 11월에 구태백제(九台百濟)가 기각숙리 등을 보내어 진사왕을 죽이고 아신왕을 세움으로서 온조백제는 다시 구태백제에 복속하였다.
18대 아신(阿莘, 아방(阿芳), A.D.392)
19대 전지(전支, 직지(直支). 혹은 영, A.D.405)
20대 구이신(久爾辛, A.D.420)
21대 비유(毗有, A.D.427)
22대 개로(蓋鹵, 근개루(近蓋婁), A.D.455) : 휘(諱)는 경사(慶司).
23대 문주(文周, A.D.475)
24대 삼근(三斤, 임걸(壬乞), A.D.477)
25대 동성(東城, A.D.479) : 휘(諱)는 모대(牟大) 혹은 마모(摩牟). 문주왕의 아우 곤지(昆支)의 아들.
26대 무녕(武寧, A.D.501) 휘(諱)는 사마(斯摩). 동성왕의 둘째아들.
27대 성(聖, A.D.523) : 휘(諱)는 명농(明 ) : 사비성으로 천도, 국호를「남부여」로 개칭
28대 위덕(威德, A.D.554) : 휘(諱)는 창(昌).
29대 혜(惠, A.D.598) : 휘(諱)는 계(季). 성왕의 둘째아들.
30대 법(法, A.D.599) : 휘(諱)는 선(宣) 혹은 효순(孝順).
31대 무(武, A.D.600) : 휘(諱)는 장(璋).
32대 의자(義慈, A.D.641)

※ A.D.660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



 


9. 신라 왕계표
[왕명 : 거서간(居西干 : 居世干), 차차웅(次次雄) ,이사금(尼師今) ,마립간(麻立干), 왕(王), 성(性) : 박(朴),석(昔),김(金) -56대 992년(B.C.57∼A.D.935)]

1대 혁거세(赫居世) (B.C.57) : 박, 거서간(居西干 혹은 거세간),
2대 남해(南解, A.D.5) : 박, 차차웅
3대 유리(儒理, A.D.24) : 박, 이사금
4대 탈해(脫解, A.D.57) : 석, 이사금, 토해(吐解).
5대 파사(婆娑, A.D.80) : 박, 이사금, 유리의 둘째 아들.
6대 지마(祇摩, A.D.112) : 박, 이사금, 기미(祇味).
7대 일성(逸聖, A.D.134) : 박, 이사금, 유리의 아들 혹은 일지(日知) 갈문왕의 아들.
8대 아달라(阿達羅, A.D.154) : 박, 이사금
9대 벌휴(伐休, A.D.184) : 석, 이사금, 탈해의 2대손으로 아버지는 각간(角干) 구추(仇鄒)이다.
10대 내해(奈解, A.D.196) : 석, 이사금, 벌휴(伐休)의 손자.
11대 조분(助賁, A.D.230) : 석, 이사금, 제귀(諸貴). 벌휴의 2대손으로 아버지는 골정(骨正) 갈문왕이다.
12대 첨해(沾解, A.D.247) : 석, 이사금, 조분의 동생이다.
13대 미추(味鄒, A.D.262) : 김, 이사금, 미조. 김알지(金閼智)의 5대손 구도(仇道)의 아들.
☞ 김알지(金閼智)는 왕이 될 기회도 있었으나 파사왕(5대)에게 양보한다.
14대 유례(儒禮, A.D.283) : 석, 이사금, 조분의 장자.
15대 기림(基臨, A.D.298) : 석, 이사금, 기립(基立). 조분의 2대손. 父는 이찬 걸숙(乞淑).
16대 흘해(訖解, A.D.310) : 석, 이사금, 내해의 2대손. 父는 각간 우로(于老).
17대 내물(奈勿, A.D.356) : 김, 이사금, 나밀(那密). 구도仇道)의 2대손. 父는 각간 말구(末仇).
18대 실성(實聖, A.D.402) : 김, 이사금, 김알지의 후손. 父는 대서지 이찬. 내물왕의 둘째 아들 복호는 고구려에, 셋째 아들 미사흔은 일본에 볼모로 보낸다.
19대 눌지(訥祗, A.D.417) : 김, 마립간, 내물왕의 장자. 실성왕을 죽이고 왕이 된다.
20대 자비(慈悲, A.D.458) : 김, 마립간
21대 소지(炤知, A.D.479) : 김, 마립간, 비처(毗處).
22대 지증(智證, A.D.500) : 김, 마립간, 휘(諱)는 지대로(智大路). 내물 3대손 갈문왕 습보(習寶)의 아들.
23대 법흥(法興, A.D.514) : 김, 왕, 휘(諱)는 원종(原宗). 연호는 건원(建元)
24대 진흥(眞興, A.D.540) : 김, 왕, 휘(諱)는 삼맥종(삼麥宗) 혹은 심맥부(深麥夫) 법흥의 왕제 갈문왕 입종(立宗)의 아들. 연호는 개국(開國)
25대 진지(眞智, A.D.576) : 김, 왕, 휘(諱)는 사륜(舍輪). 진흥의 2자.
26대 진평(眞平, A.D.579) : 김, 왕, 휘(諱)는 백정(白淨). 진흥의 태자 동륜의 아들. 연호는 건복(建福)
27대 선덕(善德, A.D.632) : 김, 왕, 휘(諱)는 덕만(德曼). 진평의 장녀. 연호는 인평(仁平)
28대 진덕(眞德, A.D.647) : 김, 왕, 휘(諱)는 승만(勝曼). 진평의 모제 국반(國飯) 갈문왕의 딸. 연호는 태화(太和)
29대 태종무열(武烈, A.D.654) : 김, 왕, 휘(諱)는 춘추(春秋). 진지의 아들 이찬 용춘(龍春)의 아들.
30대 문무(文武, A.D.661) : 김, 왕, 휘(諱)는 법민(法敏). 무열의 원자.
31대 신문(神文, A.D.681) : 김, 왕, 휘(諱)는 정명(政明) 혹은 명지(明之). 문무의 장자.
32대 효소(孝昭, A.D.692) : 김, 왕, 휘(諱)는 이홍(理洪). 신문의 태자.
33대 성덕(聖德, A.D.702) : 김, 왕, 휘(諱)는 흥광(興光). 신문의 둘째 아들로 효소의 동복 아우.
34대 효성(孝成, A.D.737) : 김, 왕, 휘(諱)는 승경(承慶). 성덕의 둘째 아들.
35대 경덕(景德, A.D.742) : 김, 왕, 휘(諱)는 헌영(憲英). 효성의 이복 동생.
36대 혜공(惠恭, A.D.765) : 김, 왕, 휘(諱)는 건운(乾運). 경덕의 적자.
37대 선덕(善德, A.D.780) : 김, 왕, 휘(諱)는 양상(良相). 내물의 10대손으로 아버지는 사찬 효방(孝芳).
38대 원성(元聖, A.D.785) : 김, 왕, 휘(諱)는 경신(敬信). 내물의 12대손.
39대 소성(昭聖, A.D.799) : 김, 왕, 휘(諱)는 준옹(俊邕). 원성의 태자 인겸(仁謙)의 아들.
40대 애장(哀莊, A.D.800) : 김, 왕, 휘(諱)는 청명(淸明). 소성의 태자.
41대 헌덕(憲德, A.D.809) : 김, 왕, 휘(諱)는 언승(彦昇). 소성의 동복아우.
42대 흥덕(興德, A.D.826) : 김, 왕, 휘(諱)는 수종(秀宗). 헌덕의 동복 아우.
43대 희강(僖康, A.D.836) : 김, 왕, 휘(諱)는 제륭(悌隆). 원성의 손자이고 이찬 헌정(憲貞)의 아들.
44대 민애(閔哀, A.D.838) : 김, 왕, 휘(諱)는 명(明). 원성의 증손이며 대아찬 충공(忠恭)의 아들.
45대 신무(神武, A.D.839) : 김, 왕, 휘(諱)는 우징(祐徵). 원성의 손자이며 상대등 균정(均貞)의 아들.
46대 문성(文聖, A.D.839) : 김, 왕, 휘(諱)는 경응(慶膺). 신무의 태자.
47대 헌안(憲安, A.D.857) : 김, 왕, 휘(諱)는 의정(誼靖). 신무의 이복 아우.
48대 경문(景文, A.D.861) : 김, 왕, 휘(諱)는 응렴(膺廉). 희강의 아들 아찬 계명(啓明)의 아들.
49대 헌강(憲康, A.D.875) : 김, 왕, 휘(諱)는 정(晸). 경문의 태자.
50대 정강(定康, A.D.886) : 김, 왕, 휘(諱)는 황(晃) 경문의 둘째 아들.
51대 진성(眞聖, A.D.887) : 김, 왕, 휘(諱)는 만(曼). 헌강의 여동생.
52대 효공(孝恭, A.D.897) : 김, 왕, 휘(諱)는 요(嶢). 헌강의 서자.
53대 신덕(神德, A.D.912) : 박, 왕, 휘(諱)는 경휘(景暉). 아달라왕(阿達羅王)의 후손.
54대 경명(景明, A.D.917) : 박, 왕, 휘(諱)는 승영(昇英). 신덕의 태자.
55대 경애(景哀, A.D.924) : 박, 왕, 휘(諱)는 위응(魏膺). 경명의 동복아우.
56대 경순(敬順, A.D.927) : 김, 왕, 휘(諱)는 부(傅). 문성의 후손으로 이찬 효종(孝宗)의 아들.

※A.D.935년에 나라를 고려에 넘겼다.




 


10. 가야 왕계표

[왕명 : 왕(王) - 성(性) : 김(金) - 10대 520년(A.D.42∼A.D.562)]

1대 수로(首露, A.D.42)
2대 거등(居登, A.D.199)
3대 마품(麻品, A.D.253)
4대 거질미(居叱彌, A.D.291) 혹은 금물(今勿)
5대 이시품(伊尸品, A.D.346) 혹은 이품(伊品)
6대 좌지(坐知, A.D.407) 일명 김질(金叱)
7대 취히(吹希, A.D.421) 일명 김즐왕
8대 질지 (A.D.451) 일명 김질왕
9대 겸지(鉗知, A.D.492) 혹은 금감왕
10대 구형(仇衡, A.D.521)

※ A.D.562년 신라에 의해 멸망.

☞ 좌지왕 이후 가야연맹체의 주도권이 대가야로 넘어가게 되었다.



 



11. 대진국(大辰國 : 일명 발해) 왕계표 : 남북국시대라 한다.
[왕명 : 제(帝-?), 왕(王-?) - 성(性) : 대(大) - 15대 259년(A.D.668 ∼ A.D.926)]

1대 세조(世祖, A.D.668) : 휘(諱)는 중상(仲象) 혹은 걸걸중상(乞乞仲象). 국호는 후고구려, 기원은 중광(重光), 시호(諡號)는 진국열황제
2대 태조(太祖, A.D.699) : 휘(諱)는 조영(祚榮). 국호 : 대진(大振), A.D.713년에 국호를 발해로 변경(당나라 현종이 책봉한다는 당의 외교적 교란이 있어음), 연호는 천통, 시호(諡號)는 성무고황제
3대 광종(光宗, A.D.719) : 휘(諱)는 무예(武藝), 연호는 인안(仁安), 시호(諡號)는 무황제
4대 세종(世宗, A.D.738) : 휘(諱)는 흠무, 연호는 대흥(大興), 시호(諡號)는 광성무황제
5대 대원의(大元義, A.D.794) : 세종의 아우.
6대 인종(仁宗, A.D.794) : 휘(諱)는 화여(華璵), 세종의 아들인 굉림(宏臨)의 아들. 연호는 중흥(中興), 시호(諡號)는 성(成)황제
7대 목종(穆宗, A.D.795) : 휘(諱)는 숭린(崇璘), 인종의 황숙(皇叔). 연호는 정력(正歷), 시호(諡號)는 강(康)황제
8대 의종(毅宗, A.D.809) : 휘(諱)는 원유(元瑜), 연호는 영덕(永德), 시호(諡號)는 정(定)황제
9대 강종(康宗, A.D.812) : 휘(諱)는 언의(言義), 연호는 주작(朱雀), 시호(諡號)는 희(僖)황제
10대 철종(哲宗, A.D.817) : 휘(諱)는 명충(明忠), 연호는 태시(太始), 시호(諡號)는 간(簡)황제
11대 성종(聖宗, A.D.818) : 휘(諱)는 인수(人秀). 대조영의 동생 대야발의 4세손, 연호는 건흥(建興), 시호(諡號)는 선(宣)황제
12대 장종(莊宗, A.D.832) : 휘(諱)는 이진, 연호는 함화(咸和), 시호(諡號)는 화(和)황제
13대 순종(順宗, A.D.858) 휘(諱)는 건황(虔晃), 연호는 대정(大定), 시호(諡號)는 안(安)황제
14대 명종(明宗, A.D.872) 휘(諱)는 현석(玄錫), 연호는 천복(天福), 시호는 경(景)황제
15대 애제(哀帝, A.D.901) 휘(諱)는 인선, 연호는 청태(淸泰)

※ A.D.926년 요(遼)에 의해 멸망.


 

 

12. 고려왕조 왕계표 (474년)

 

대 왕명 생몰 즉위 재위 비고


1대 태조(왕건) 877~943 42세 25년 918년 고려 건국67세 사
2대 혜종 912~945 31세 2년 4개월 태조의 장子 34세 사
3대 정종(定) 923~949 23세 3년 6개월 태조의 3子 27세 사
4대 광종 925~975 25세 26년 2개월 태조의 4子 51세 사
5대 경종 955~971 21세 6년 2개월 광종의 장子 27세 사
6대 성종 960~997 22세 16년 3개월 대종욱의 子 38세 사(대종욱은 태조의 7子)
7대 목종 980~1009 18세 11년 4개월 경종의 독子
8대 현종 992~1031 18세 22년 3개월 안종욱의 子 40세 사(안종욱은 태조의 8子)
9대 덕종 1016~1034 16세 3년 4개월 현종의 장子 19세 사
10대 정종(靖) 1018~1046 17세 11년 8개월 현종의 차子 29세 사


11대 문종 1019~1083 28세 37년 2개월 현종의 3子 65세 사
12대 순종 1047~1083 37세 3개월 문종의 장子 37세 사
13대 선종 1049~1094 35세 10년 7개월 문종의 차子 46세 사
14대 헌종 1084~1097 11세 1년 5개월 선종의 장子 14세 사
15대 숙종 1054~1105 42세 10년 문종의 3子 52세 사
16대 예종 1079~1122 27세 16년 6개월 숙종의 장子 44세 사
17대 인종 1109~1146 14세 23년10개월 예종의 독子 38세 사

18대 의종 1127~1173 20세 24년 7개월 인종의 장子 47세 사
19대 명종 1131~1202 40세 27년 인종의 차子 72세 사
20대 신종 1144~1204 54세 6년 4개월 인종의 5子 61세 사


21대 희종 1181~1237 24세 7년11개월 신종의 장子 57세 사
22대 강종 1152~1213 60세 1년 8개월 명종의 장子 62세 사
23대 고종 1192~1259 22세 45년10개월 강종의 독子 68세 사
24대 원종 1219~1274 41세 15년 고종의 장子 56세 사
25대 충렬왕 1236~1308 39세 33년 6개월 원종의 장子 73세 사 (몽고에 충성과 뜻으로 忠자사용)
26대 충선왕 1275~1325 24세 5년 3개월 충렬왕의 장子 51세 사
27대 충숙왕 1294~1339 20세 24년 충선왕의 차子 46세 사
28대 충혜왕 1315~1344 16세 6년10개월 충숙왕의 장子 30세 사
29대 충목왕 1337~1348 8세 4년10개월 충혜왕의 장子 12세 사
30대 충정왕 1338~1352 12세 2년 3개월 충혜왕의 차子 15세 독살


31대 공민왕 1330~1374 22세 22년11개월 충숙왕의 차子 45세 시해
32대 우  왕 1365~1389 10세 13년 9개월 공민왕의 독子 25세 시해 (신돈의 자식이라고도 함)
33대 창  왕 1380~1389 9세 1년 5개월 우왕의 독子 10세 시해
34대 공양왕 1345~1394 42세 2년 8개월 이성계에 의해 50세 시해 

'우 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두칠성이 우주에 미치는 역할은?  (0) 2010.11.06
자미원 태미원 천시우너  (0) 2010.11.06
25920  (0) 2010.09.15
견우직녀도  (0) 2010.07.21
은하철도 구구구  (0) 2010.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