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져온글

수능날이 되면 날씨가 추워진다?

by 자연처럼 2011. 7. 4.

수능날이 되면 날씨가 추워진다?


대학 입학 시험을 치르는 날만 되면 추위가 찾아온다고 해서 입시 한파니, 수능 한파니 하는 말들이 있는데요 이런 말들은 수능 시대 이전에 생긴 말들입니다. 수능 이전에 학력 고사를 치를 때 말이죠 보통 학력 고사를 12월에 치뤘습니다. 12월은 당연히 춥죠 겨울은 시베리아 고기압이 주기적으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이기 때문에, 3한 4온 (3일은 춥고, 4일은 풀리는 날) 의 날씨가 되풀이 됩니다. 시험일이라 추운게 아니라, 12월에는 추운게 당연하단 말씀입니다.

 

1주일에 3일 정도는 강추위가 오고, 4일 동안은 조금씩 풀리는 날이 반복되니 추운게 당연하죠 날씨가 풀린다 하더라도, 긴장하는 수험생과 가족들에게는 더 춥게 느껴지기 마련이죠. 긴장하면 교감신경이 작용하기 시작하면서 몸이 떨리는데요, 추위와 겹쳐져서 더욱 춥게 느껴지는 것이죠 게다가 시험을 치루기 위해 아침부터 서두르는데요. 날씨가 풀린 겨울 날이라고 하더라도, 아침에는 하루 중 온도가 가장 낮은 시간입니다. 수능은 11월에 치뤄집니다.요즘이 10월인데도 가끔 춥죠 11월은 요즘보다 더 추운게 당연합니다. 물론 12월에 시험을 치뤘던 학력고사 시절만큼은 아니겠죠.

 

요컨대, 수능 시험일에 날씨가 추운 것은 특별히 시험날이라 추워진다기 보다는 시험일이 겨울에 있기 때문에 추운 것입니다. 겨울에는 차가운 대륙성 고기압인 시베리아 고기압이 주기적으로 장출하기 때문에 추운 날이 많은 것이죠 게다가 긴장하게 되면 더욱더 춥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한국 기상청 산하 '국립 전자 기상 연구소'는 국가고사 시험일의 기상 데이터 분석 및 최근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이러한 '시험 추위'의 실재 및 그 과학적 원인을 규명, 관련 학계에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따르면 1968년 이후 작년까지 총 33년간의 국가고사 시험일 전일 및 당일의 기온이 평균치보다 6도 이하로 떨어진 날은 총 28일로써 약 85% 의 비율로 낮은 기온을 기록하고 있는 바, 일반인들이 말하는 '시험 추위'가 실제 존재하는 기상현상으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놀랍게도 연구소측의 발표에 따르면 이의 원인은 바로 '시험에 의한 스트레스'로 밝혀져 일반인 및 관련 학계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정신적 스트레스를 강하게 받는 사람의 뇌파에서는 평상시보다 약 30배에 가까운 강력한 세타파(θ, theta wave)가 발생하는데, 이 세타파가 국지적 지자기에 영향을 주어 그 세기를 약 0.7~1.2 * 10-8Wb 정도 감소시키고, 이것이 대기중의 수증기 분자 내 수소원자의 운동성을 편향시키는 바, 수증기 분자의 진동수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분자 자체 발산 온도가 평균 30% 낮아진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수험생 및 학부모의 스트레스가 최고조에 달하는 시험 당일에 가까울수록 일시적, 국지적인 기온이 급강하하게 되고, 시험 인구가 비교적 적은 인근 산간지대 및 해안 지대와의 대기 온도차에 의한 강한 바람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연구소 측은 이의 실험적 규명을 위해 생후 4개월된 생쥐 50마리에 스트레스 발생시 분비되는 일명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져있는 '글루코르티코이드'를 주입 하고 주변의 자기장 및 분자 진동, 기온 등의 측정 및 1998년~2000년의 3년간에 걸친 실제 기상 현상의 관측 결과, 위 가설을 입증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실제 세타파의 자기장 연동 간섭 현상 및 자기장의 수증기 분자 진동 간섭 현상은 지난 1996년, 유럽원자핵공동연구기구(CERN) Brett.H.Anderson 교수팀과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의공학 Jemes.G.Hetfield 교수팀의 공동 연구 결과 입증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시험 반짝 추위'의 실재 및 그 원인이 수험생과 학부모의 강한 스트레스에 의한 것이라는 연구결과 발표에 따라 관계당국은 이러한 현상의 기후변화대책 등의 기상학적 대책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등의 연구를 위해 국내외 학계와 연계방안을 추진중이며 필요 예산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제주지방기상청 방재기상팀장 김재호

'가져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해바다 / 고대문명  (0) 2011.07.11
울릉도 호박엿에 호박이 들어갈까?  (0) 2011.07.07
(영추) 소침해 제삼  (0) 2011.06.18
참치 권장량  (0) 2011.05.24
삼인론三因論   (0) 2011.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