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져온글

津液

by 자연처럼 2011. 12. 29.

 

진액의 개념

 인체의 모든 정상적인 수액의 총칭으로

타액, 위액, 장액, 관절강 내 액체와 눈물, 콧물, 요액 등을 포괄한다.  

즉 정상적인 인체 조직 사이의 액체와 신진대사의 각종 분비액들을 포괄하는 것이다.  

 

진액은 진과 액으로 구분하는데  

 

성질이 맑고 묽으며, 유동성이 좋고, 피부와 근육 등 인체 표면에 분포되어

자양, 습윤 기능을 가진 것을 진이라 하고,  

 

성질이 비교적 걸고 끈끈하며, 유동성이 비교적 약하고, 관절과 뇌수 등 체내에 분포되어

윤활, 자양 기능을 하는 것을 액이라 부른다.  

 

 

진액의 대사(代謝)

 

 진액의 형성, 수송분포 및 배설 과정을 말하며,

여러 장부들이 공동으로 완성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진액의 형성

위가 음식물을 받아 비와 위의 초보적 소화를 통해 정기(精氣)를 흡수하고 나머지 식미(食糜)를 소장으로 수송하며, 소장에서는 영양물질과 찌꺼기를 갈라 영양물질(맑은 부분)은 흡수하고 찌꺼기(흐린 부분)는 대장으로 수송한다.  

 

대장에서는 그 중 쓸모 있는 수분을 흡수하고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출한다.

이렇게 위로부터 흡수된 정기,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물질,

대장에서 흡수된 수분 등이 비에 수송되어 진액을 형성한다.

 

진액의 수송분포와 배

 진액의 수송분포와 배설은 비, , 신 등이 삼초를 통하여 완성한다.

즉 비의 운화기능에 의해 일부분은 직접 전신에 분포되어

전신에 영양을 공급하는 한편 나머지는 폐로 수송된다.  

 

폐는 선발 기능을 통하여 진액을 전신에 수송분포하여

기혈과 함께 전신조직에 영양을 공급하고 습윤시킨다.  

 

그리고 일부분 진액은 폐 등의 대사과정을 통해 땀으로 체외에 배출되는 한편

폐의 숙강 기능에 의해 신으로 수송되며

이것들은 신과 방광의 기화기능에 의해 최종적으로 오줌이 되어 체외로 배출된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반드시 삼초를 통하여 진행되는 것으로

삼초는 수액대사의 중요한 통로이다  

 

 

진액의 기능

 

 자양과 윤활기

진은 자양, 습윤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액은 윤활, 자양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체표에 수송 분포된 진은 피부, 근육, , , 입 등에 영양을 공급하고 습윤시키며

내장, 관절, 뇌수 등에 수송분포된 액은 이것들을 윤활시키고 영양을 공급한다.

 

혈액의 형성에 참여한다.

진액은 혈맥에 스며 들어가 혈액의 수분을 보충하여 순조로운 혈액순환을 돕는다.

 

음양의 평행을 조절한다.

 진액의 대사는 음양의 평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발휘한다.

예를 들어 날씨가 무더울 때는 땀이 많고 오줌이 적으며, 추울 때에는 땀이 적고 오줌이 많은데

이것은 진액대사의 조절작용으로써 음양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실례이다.  

 

또 체내에 양열(陽熱)이 심할 때에는 땀이 많이 나는데 이것을 통하여 양열을 밖으로 방출하고,  

체내에 음한(陰寒)이 심할 때에는 땀이 적게 나는데 이것을 통하여 양기를 수련시키고 음양의 평형을 유지시킨다. 

 

대사 산물을 배설시킨다.

진액 대사과정을 통해 인체에 해로운 대사 산물을 체외로 배설시켜

인체의 정상적 생리활동을 유지시킨다.

 

'가져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사천  (0) 2012.01.06
우유에 관한 불편한 진실  (0) 2012.01.05
어원  (0) 2011.12.20
마귀  (0) 2011.12.16
神機氣立  (0) 201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