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은 하늘과 땅(天地)에 속한 우주만물을 음양으로 표현 한 것으로
음이 커져서 극(다할 極)하면(太極) 양이 되고 양이 극하면 음이 되는
우주자연의 이치를 표현 한 것이도 하다.
즉 태극은 우주만물의 생성변화의 이치를 나타낸 것이다.
태극과 삼태극이 있는데
태극이 음양 개념을 설명하는 이론적 태극이라면
삼태극은 천지인을 표현 한 것으로 음중양으로 중화의 개념이 있는 태극 이다.
천지 사이에 인(우주만물)이 있음을 표현하는 것으로
음양의 대립이 아닌 화합(중화)하여 창조물이 생기는 생성변화를 표현 한 것이다.
이것이
태극기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통용되는 태극
음양의 흐름을 보면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고 있음을 느낄수 있다.
하도와 낙서에서
하도는 시계방향으로 기운이 돌아 상생의 기운이
낙서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 상극의 기운이라고 이해 하니까
태극이 기왕이면 시계 방향으로 도는 느낌이면 좋겠다.
아래 태극과 같다
태극은 하나지만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반대방향으로 보이니까
-천문도를 하늘을 바라보고 그린 것은 앙천도
땅에 그린 것은 강림도라고 서로 반대 인 것 처럼-
어떤 방향으로 그려도 되지 않을까 하지만
그러나 기왕이면 보고 느끼는 대로인 아래 태극이 더 적절하다 할수 있다.
요 아래 태극은 태극의 적새과 청색의 위치를 바꾼
즉 바로 위 태극을180도 돌린 것이다
양은 위로 올라가고 음은 아래로 내려가는데
현재의 태극기 태극(맨위 태극)은 양(적)이 위에 음(청)이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주역의 괘로 보면 화수미제에 해당한다.
음과 양이 교류하여 중화 되는 것이 아니라 분리,대립한 양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 맨아래 태극처럼
음이 위에 양이 아래에 있어야
음과양이 교류 중화하는 것을 표현 할수 있다.
음과 양이 중화하여 새로운 창조가 일어나니까
생성,변화를 표현 하기 위애서는 맨 아래 태극이 적합나다.
blog.naver.com/bhjang3/140191461349
◈ 우주 운행을 도식화한 우리의 신비한 태극 문양
▲ 태극 도형과 NASA 에서 발표한 나선와상은하계(螺旋渦狀銀河系). ◈ 우주 운행을 도식화한 우리의 ...
blog.naver.com
blog.naver.com/bhjang3/140191357611
◈ 태극 문양은 중국보나 우리가 먼저 사용하였다
◈ 태극 문양은 중국보나 우리가 먼저 사용하였다 태극 문양을 사용한 원류를 추적하다 보면 분명히 우리 ...
blog.naver.com
'우 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라미드 에너지 (0) | 2019.08.14 |
---|---|
천문도(조선왕조실록) (0) | 2019.07.30 |
강서대묘 (0) | 2019.07.09 |
북두칠성 (왕조실록) (0) | 2019.06.19 |
세종실록/ 세종 때 왕비의 장례 의식에 대한 내용 (0) | 2019.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