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가 아플 때
대개 "아이고 머리야", "아이고 골이야", "골치가 아프다" 하지요
골치란 '머릿골의 속된 말로
어떤 일에 고통스러울 만큼 몹시 신경을 쓰고 있는 상태의 머리'로 사전에 나와 있고요
골(骨)이란 머리를 의미하고 치(齒)란 이빨을 의미 하므로
머리와 이빨이 아플 정도의 통증이라 해야 할까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골치가 아프다", "골머리를 앓는다"란 말을 쓸 때
꼭 두통이 있을 때만 쓰는 것이 아니라
일이 꼬여 머리속이 복잡할 때나 문제가 있을 때 쓰기도 하지요.
우리말이 같은 단어를 쓰는데 그 뜻이 다양한걸 보면 상당히 잘 만들어진 말이라 하겠지요.
골치 아픈 이야기 즉 두통을 얘기 해보자는 것이지요.
현대의학에서 나름대로 그 기전을 많이 밝혔다고 하지만 거의 원인불명인 경우가 많지요.
그리고 거의 진통제로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지요.
그러나 한방에서 보면 잘 분류를 했다 할까요?
少陽경락이 막혀 머리가 아프면 소양두통
- 화가 너무 나면 또는 너무 신경쓰고 스트레스 받고 열 받으면 양쪽 측면 머리가 아프잖아요.
- 열받아 핏대가 오르고 눈이 치켜 올라가고... 뚜껑이 열릴 것 같은데..
해결 못하면 당근 골이 지끈지끈 아플 수 밖에요.
- 이것이 소양두통이고 담경으로 과부하가 걸렸다고 하겠지요.
- 담경에 문제 생겼으니 시호제로 해결하면 되지 않을까요.
太陽경락이 막히면 태양두통
- 태양병(상한-傷寒)으로 머리 아프고 뒷목이 뻑뻑한 경우(감기)
- 뒤통수를 맞은 것도 아닌데 뒤통수가 뻑뻑하고 머리 꼭대기도 아프다.
- 상한에 항배강 이러면서 등짝이 썰렁하고 열이 나며 머리가 아프다... 이런 경우겠지요
- 태양병으로 인한 두통이니 발한, 해표하여 풀면 되겠지요.
陽明경락이 막히면 양명두통
- 소화가 되지 않으며 이마쪽 앞 머리 아픈경우(족양명 胃경이 막혀서)
- 또 사돈이 논을 산 것도 아닌데 배가 아프고 머리도 아프다.
- 한마디로 '체해서 머리가 아프다' 이거지요.
- 이경우 체한게 풀어지면 머리도 안 아픈겠지요.
厥陰경락이 막혀서 궐음두통
- 족궐음 간경이니 간이 떨어질 뻔하거나, 간이 콩알만해지게 놀라거나,
화나 짜증을 많이 내고나니 '눈이 빠지게' 머리가 아프다... 이런 것 아니겠습니까?
- 간기울결로 머리가 아픈 것이라 간을 풀어주면 되겠지요.
少陰경락이 막혀서 소음두통
-족소음신경, 수소음심경이니 심신이 허해서 오는지라
어르신네들 기운 없어 툭하면 머리 아프다는 만성적 두통이 이것 아닐까요.
- 잘 드시게 하고 心腎을 補 할 필요가 있는게지요.
太陰경락이 막혀서 태음두통
- 족태음 비경이니 고민하고 생각이 많고(思), 골치 아픈 일이 있을때, 골 때린다 할 때 이런 경우겠지요.
- 단순 무식해지면 쉽게 해결 될 것 같은데 어떨까요...?
이렇듯 두통이라 하지만 다 다르다 하겠지요.
우선은 생각, 감정이 氣니까
해당 두통에 원인이 되는 감정이나 생각을 정리하면 막힌 것이 해결 되지 않을 까요.
한정 된 통로에 너무 많은 것이 흐르려니까 막히는 것이지요.
물론 감정 뿐 아니라 六淫(풍, 한, 서, 습, 조, 열)이 해당 경락에 과도하게 흐를때도 막히겠지요.
막혔다고 생각되는 경락을 뚫어주거나 풀어주면 해결 되는거라지요.
기가 막혀서 아프던 것이 소통되니 안 아프다 이런거지요.
그러니 침을 맞거나 뜸을 떠서 해당 경락이 풀어지거나 또는 지압이나 맛시지에 의해서 풀어지면
진통제를 쓰지 않더라도 두통이 해결 될 수 있는 것이지요.
읽어보니 골치 아프다고요 ㅎ ㅎ ㅎ
'건강 바로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경병에 대한 한 생각 (0) | 2007.07.28 |
---|---|
[스크랩] 체질 따라 잘 걸리는 병 "따로 있어요." (0) | 2007.06.25 |
더위 먹으면 배부를까? Tu (0) | 2007.05.26 |
[스크랩] 火란 무엇인가 (0) | 2007.05.24 |
침을 질질 흘리며...... (0) | 2007.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