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하게 쓴 글218 쥐장수 얘네들이 쥐 잡아 쥐장수 할 것 같지 않지요. 그러니께 쥐장수가 아니고... 오늘 쓰고자 하는게 지장수(地漿水)지요 지장수(地漿水) 좋은 황토에서 걸러낸 물 즉 황토물을 말하느 거지요. 이 지장수의 관건은 얼마나 좋은 황토인가 즉 불순물이 적게 들은 입자가 아주 고운 황토에 .. 2012. 1. 7. 한 턱 내다 한턱내다의 유래를 찾아 보고자 인터넷을 검색 했는데 모두 마땅치 않아요. 1. ‘한 턱’ 이웃에 좋은 일이 있을 때 우리는 흔히 "한턱 내라"고 한다. 이 ‘한턱’이라는 말도 절에서 유래되었다. 옛날 어느 산에 유난히 밤나무가 많아, 비탈길을 살짝만 막아주어도 가을에는 밤이 .. 2011. 12. 20. 손가락으로 말을 많이 해도 배가 고프네 저 아래 이화님 댓글입니다. 손가락으로 말을 많이 해도 배가 고프다고...... 당연한거지요 소위 잔머리를 많이 굴리니 에너지 소비가 많고 그러니 배가 고픈거지요. 생각 사(思)가 많으면 기운이 어디로 갈까요? 脾로 간다 했지요. 적당히 생각을 하면 비가 잘 움직인다...? 말 되는 .. 2011. 11. 30. 음악 연속듣기 만드는 방법 음악퍼오기 / 음악 연속듣기 만드는 방법음악퍼오기 1. 해당 웹페이지에서 브라우저상단의 보기>소스를 선택2. 메모장이 뜨면 찾기를 선택하고 embed 로 찾습니다.3. 5. 자동실행은 autostart=true6. 플레이어를 감추고 배경음악으로 깔고 싶은 경우 따라서 기본명령어는 가 되겠네요 음악 연속 듣기 만드는 방법 마음에 드는 음악 여러곡을 하나의 음악파일로 만들어 들을 수 있는 제일 쉬운 방법 입니다연속듣기로 만들으시려면 음악파일을 만들어 주셔야 하는데아래 순서대로 해보세요http://daumbgm.nefficient.co.kr/mgbdamu/A0903723/A090372390026401.wma 연속듣기만들 소스입니다,꼭,음악파일 첫부분이 http://~ 이렇게나 mms://~ 이런식 이어야만.. 2011. 11. 18. 산재청구 그래서 오늘 산재 청구를 해봤습니다. 몇년 전에 청구한 이후로 환자가 없었는데 올해 2월부터 달마다 오시는 산재 환자가 있거든요. 청구를 미뤄놨었는데 겸사로 해봤습니다. 한우리님도 유팜 쓰시니까 제가 한 그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좋죠잉? 그럼 시작해볼까요? 유팜 화면.. 2011. 11. 1. 肺者 相傅之官 治節出焉 재벌 회장들이 폐암으로 많이 죽는다는데 그 이유가 있더라는 거지요. 폐(肺)의 한자를 보면 市(저자 시, 시장 시) 붙어있지요. 주고 받고 하는 곳이라는 얘기지요. 재벌 회장은 주고 받는 시장에서 최고의 재주꾼이라 많이 쎃아 놓은 사람이지요. 주고 받는 의미에서 시장 市를 써서 肺인데 너무 많이 .. 2011. 10. 13. 족양명위경 족양명 위경(足陽明 胃經) 양명(燥)기운이 흘러서 위(胃)토(土) 로 가는 경락이라는 소리지요. 비위가 토에 해당하는데 그중 위는 양(陽)이니까 비(脾) 보다는 덜 습(濕) 하겠는데 기능적으로 양명 기운에 해당하니까 위는 적당히 조(燥) 해야 하는 거지요. 위가실(胃家實) 이 양명병이니까 지나치게 조해.. 2011. 10. 11. 서안 피라미드 구글에서 크게 보기 서안 옛날 이름으로 장안 입니다. 중국 땅의 거의 한가운데 있다고 봐야겠지요. 당나라때 수도 던가요 장안이.... 거기에 피라미드가 있다는 거지요. 중국에는 여기 말고도 수백개가 넘는 피라미드가 있다는데.... 구글 위성지도에 들어가 눈빠지게 찾았더니 정말 있더라구요 아래 두 그림 처.. 2011. 10. 3. 참성단(塹星壇) 세종실록 지리지 / 경기 / 부평 도호부 / 강화 도호부 진산(鎭山)은 고려 마리산(摩利山)이다.【 부(府) 남쪽에 있다. 꼭대기에 참성단(塹星壇)이 있는데, 돌로 쌓아서 단의 높이가 10척이며, 위로는 모지고 아래는 궁글며, 단 위의 사면(四面)이 각기 6척 6촌이고, 아래의 너비가 각기 15척이다. 세상에 전.. 2011. 10. 3. 머리가 아퍼요 머리 아프다고 와서 약 달라고 하면 뭐 주나요? 게보린, 펜잘은...안 줄 것 같고..... 술 먹고 난후에 아세트아미노펜 쓰면 간에 어쩌구 하여 쓰지 않는게 좋다지만 현실은 자신들이 알아서 판피린도 먹고, 펜잘도 먹고 등등 그러구 있지요 요 위에 고본에서 처럼, 수천년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태양두통.. 2011. 9. 20. 백출, 창출 창출과 백출이 구별하기 쉽지 않은데 창출은 삽주나무의 오래된 뿌리, 백출은 햇 뿌리를 백출이라 한다 창출은 껍질을 까지 않은 것이고 백출은 벗겨 낸 것이다. 설이 분분..... 암튼 창출이 더 색이 진하고(칙칙하고) 백출은 흰쪽에 가깝고 그런데 한방에서 창출은 거풍습약으로 백출은 .. 2011. 9. 10. 백의민족 우리 민족이 백의민족이라고 흰옷을 즐겨 입은 유래를 찾아보면 설이 많으나 아래 퍼온 글이 가장 적절한 것 같고 그럼 상복을 서양이나 중국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흰옷을 입은 이유도 또한 이것과 같을까? 귀신이 나타날 때도 흰소복 차림으로 나타난다는 데 이런 이유와 같지 않을까? 소복(素服) .. 2011. 7. 11. 이전 1 ··· 3 4 5 6 7 8 9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