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의 어원이 무어냐고?
깝깝해 버리네~
經 지날경, 날경
経(경)의 본자(本字).
뜻을 나타내는 실사(糸☞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巠(경☞세로로 곧게 뻗은 줄)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옷감 짜는 날실, 씨실인 緯(위)에 대(對)하여 일컬음
絡 이을락.
뜻을 나타내는 실사(糸☞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뒤얽히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各(각→락)으로 이루어짐.
실이 휘감겨 얽히다의 뜻으로 쓰임
날줄 씨줄이 있듯이 우리 몸에도 그런거지요,
경도 위도가 있듯이 우리 몸을 그렇게 보는 거지요.
경과 락으로 표현하면서...
그거 내경에 나와요... 그렇게
황제내경에는 그렇게 나오지 않고 당연히 아는 것으로 얘기 되고 있네요.
한자를 분석해 보면 이해하기 쉽겠지요.
둘가 실사변이 있으니 실 처럼 가는 것을 의미하고
경은 巠(경세로로 곧게 뻗은 줄)의 의미니까 위아래로 이어지는 선
락은 뒤얽히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各이니 경과 경사이를 잇는 선이라 보면 되겠지요
경락의 유주는 어떻게 되는 거지요?
오메 어떻게 간단하게 설명 하라는 건가
이를 이해 하려면 일단 경락의 명칭을 알아야하고
그 의미를 되새겨 이해 해야 하는디....
일테면 족태양방광경 하면 태양의 의미를 알아야 하는 거지요.
이 태양(太陽)의 의미를 알려면
궐음, 소음, 태음, 소양, 양명, 태양으로 표현 되는 오운육기중 6기를 알아야 합니다요.
그럼?
6기 각각이 지니는 뜻을 알려면
즉 풍,열,서,습,조,한의 육음과 대비 되는데 이것은 왜 그런지 어찌 알겠느냐구요
이것은 복희 팔괘의 건,태,이,진,손,감,간,곤을 통해서 이해 할 수 있는 거지요
건곤(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기운으로 이해 하자면
2 태택=濕(태음), 3 이화=熱(소음), 4 진뇌=暑(소양), 5 손풍=風(궐음), 6 감수=寒(태양), 7 간산=燥(양명)
이렇게 대비하여 이해 하면
궐음 소음 태음 소양 양명 태양
풍 열 습 서 조 한 으로
자연에 있는 기운 즉 육음이 경락을 통하여 우리 몸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족태양방광경, 족소음신경 등등 이렇게 표현 하는 것이지요
'편하게 쓴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똥이야기 (0) | 2016.12.27 |
---|---|
분단, 분열, 대립 (0) | 2016.02.05 |
용의 발톱 (0) | 2014.10.30 |
보리 보리 (0) | 2014.05.03 |
곰탕 설렁탕 과연 뼈에 좋을까? (0) | 201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