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유행인 맨발걷기에 대하여 나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맨발의 걷기가 각종 암을 해결하는 것으로 보도 되면서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이 과학적 근거(유의성 있는 통계)나 논리가 있어야 하는데
"내가 좋아졌으니 너도 해보라"라는 식의 경우가 많은 데 이는 정통성을 갖추지 못한 미신과 다름이 없다 하겠지요.
암튼 여러 사람들의 주장을 정리 해보면, 건강을 찾게 되는 이유가
1) 접지(earthing)
2) 발 지압효과
3) 걷기운동 이라 하겠네요.
1) 접지(earthing)
우리 몸에 있는 활성산소, 정전기 등 유해 전하를 지구(땅)와 접촉하여 중화 시키는 것입니다.
번개를 막기위하여 피뢰침을 설치 하는 원리와 같은 것이지요.
2) 발지압효과
이침,수지침과 같은 원리로
발바닥에는 '인체의 각 기관과 상응 된 반사신경이 밀집 되어 있는 발반사구'가 있기 때문에
맨발로 걷기 할 때 지압효과의 의해 해당기관이 활성화 되는 것입니다.
3) 걷기운동 효과
맨발로 걷는다는 명분으로 걷기를 열심히 한 결과 운동효과가 생기는 것입니다.
나름으로 해석해 보자면
1)어씽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히 발) 양말, 신발을 신고 다니는데
이를 벗고 보다 자연과 밀착하는 자연으로 돌아 가는 발걸음의 시작이라 하겠네요.
자연과 하나 되려는 노력.
하늘과 땅 사이에 살아가는 사람이 하나 되려는 노력
즉 천지인(天地人)이 하나 되는 것입니다.
접지의 효과가 있으려면 흙을 밟으라는 건데
흙이 전기가 잘 통하는 전도체라기 보다는 부도체 혹 반도체라 할 수 있는데도 효과가 있다는데
더 좋으려면 물이 있는 곳이 더 효과가 있겠네요.
그래서 물기가 있는 황토길이 더 효과가 있다고 하는 것이네요.
그렇다면 바닷가 모래사장 혹 바닷물 속에서 걸으면 더 좋지 않겠나요.
일부에서는 흙이 있는 땅이 좋으나 포장도로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아파트 같은 집에서는 코팅(비닐 등)이 되어 있지 않은 목욕탕이나 베란다도 땅과 통해 어씽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럼 집안에서 양말을 벗고, 실내화도 벗고 특히 목욕탕에서는 맨발로 일 보면 어씽 효과가 있지 않겠나요.
하늘이 저 높이 구름이 떠있는 곳만이 아니고 콧구멍 속도 하늘이고
산이 나무가 우거진 높은 곳만이 산이 아니라 장독대도 논두렁도 산이듯이
흙과 돌이 있는 땅만이 땅이 아니라 우리집 방, 목욕탕도 땅이라 생각하면
집안에서도 접지(어씽)가 일어 날 수 있겠지요.
흙길에서 맨발로 걷기 힘든 경우 대신 할수 있는 방법 아니겠나요?
약국 바닥도 땅이려니 생각하고 맨발로 근무 한지 며칠 되었습니다.
약국에서도 어씽이 일어나지 않을 까요,특히 1층.
어씽 효과 있는가 실험중 입니다.
2) 발지압효과
울퉁불퉁 한 길을 걷다보면 발바닥 발반사구를 지압하는 효과로 몸이 좋아진다.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발바닥을 지압, 자극 하는 발마사지가 대체의학으로 자리 잡고 있으니까요.
그럼 내가 걷지 않더라도 쉽게 할 수 있는 것은
발바닥을 주무르고 누르고 하여 굳은 곳이나 아픈 곳을 풀어 주는 것입니다.
3) 걷기운동효과
말 그대로 안걷던 사람들이 맨발걷기가 좋다니 열심히 걸으므로 효과가 있는 것입니다.
이때 바르게 걷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 합니다.

잘 정리 되어 있어 가져온 글
(3-2) [바른 움직임] 바르게 걷기1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3-2) [바른 움직임] 바르게 걷기1
발은 인간의 가장 일차적인 이동 수단이다. 올바르지 않은 걷기 자세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인체의 특정 ...
blog.naver.com
옛날에 양반들이 종일 앉아서 웅크리고 글을 읽고 쓰다가
몸을 풀기 위하여 밖에 나와 가슴을 펴고 뒷짐 짓고 걸었는데, 이것을 양반걸음이라 합니다.
이때 위 그림 처럼 발뒤꿈치 부터 차례로 땅에 닿게하고 마지막 엄지발가락으로 탄력있게 마무리 하며 걸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르게 걷기 입니다.
맨발로 걸으니까 신발 신었을 때와 달리 바르게 걷기가 되네요.
자연과 하나 되어 산길 들길 흙길을 걸으면 좋겠으나
여의치 않으면 목욕탕에서도 어씽이 가능하니 맨발로 생활, 그리고 베란다에서라도 걸어 봅시다.
생각이 氣라 생각이 바르면 기 순환이 바르게 되어 몸도 바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