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져온글224 거칠내(荒川) 거칠내(荒川) 처음에는 "荒川"을 "황천"으로 번역(飜譯)할까 하다가 "거칠 황"이 생각나서 "내 천"과 합쳐 "거칠내(荒川)"로 이름붙였다. 나름대로 아름다운 우리말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저기 찾아보면 아직도 "무슨무슨 내"라고 이름붙은 지명(地名)들을 볼 수 있다. 서울에 "모래내"가 있다. 굳이 한자(漢.. 2009. 8. 6. 솟대 솟대 : 오리야, 우리 꿈을 하늘에 전해주렴 '솟대'란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나 돌기둥 위에 앉힌 마을의 신앙대상물로서, 마을 사람들은 음력 정월 대보름에 동제 모실 때에 마을의 안녕과 수호, 풍농을 위해 마을 입구에 세우는 것을 말한다. 솟대 신앙의 역사는 북아시아 여러 민족에게서도 공통.. 2009. 7. 24. 잡상 잡상 (雜像) 궁전·누문(樓門)·신전(神殿) 등 전통적인 지붕의 네 귀 위에 장식하는 짐승 모양의 기와. 맞배집의 경우 내림마루 끝에, 우진각이나 팔작집의 경우 추녀마루 끝에 한 줄로 장식한다. 건물 수호의 상징과 장식을 겸하고 있는데, 신선·법승·기인·괴수 등의 상을 형상화하여, 안쪽에 용.. 2009. 7. 15. 십장생 십장생 (十長生)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상징하는 10가지 사물. 민간신앙 및 도교에서 이루어진 관념체계이다. 해[日(일)]·달[月(월)]·산(山)·내[川(천)]·대나무[竹(죽)]·소나무[松(송)]·거북[龜(균)]·학(鶴)·사슴[鹿(녹)]·불로초(不老草)를 말하기도 하고, 해·돌[石(석)]·물[水(수)]·구름[雲(운)].. 2009. 7. 15.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 (諸經引藥) 인경약(引經藥)은 다음과 같다. ○ 수태양경(手太陽經)의 인경약은 강활, 족태양경(足太陽經)의 인경약은 황백이다. ○ 수태음경(手太陰經)의 인경약은 길경, 족태음경(足太陰經)의 인경약은 작약이다. ○ 수양명경(手陽明經)의 인경약은 구릿대, 승마, 족양명경(足陽明經)의 인경약은 석고이다. ○ 수.. 2009. 7. 13. 물 먹인다 물과 관련해 ‘물먹이다‘라고 하는 표현이 있다. 상대에게 물을 먹여준다고 하는 표면적 의미와는 달리 골탕을 먹인다고 하는 악의적인 의미로 사용되곤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물고문이라든가, 물 먹인 소의 유통 등 과거 암울한 사건들이 의미변화에 일조하였다는 설도 있으나 구전되어 전해지는 .. 2009. 7. 2. 신체부위별 땀으로 본 건강 (::손발이 축축 위장기관 이상 신호, 겨드랑이 줄줄 심혈관계 질환 조심::)땀은 건강의 척도로 적당히 흘리면 건강이 좋다는 표시다. 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본인 역시 이로 인해 대인관계나 생활에 문제가 생기고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두인선 광동한방병원 .. 2009. 7. 2. 생각이 유전자를 변화시킨다 ㆍ글쓴이 : 강길전 (2004.05.22 - 03:21) file : Download : 0 --> link1 : --> 생각이 유전자를 변화시킨다크게 보기 - 미내사클럽"); imageHandle.document.write(" 본 내용은 <지금여기> 2003년 5/6월호 114페이지에 실린 세포 생물학자 브루스 립톤의 글을 정혜숙 선생님께서 번역하신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요약하는 과.. 2009. 6. 18. '서당개 삼년에 풍월을 읊는다'의 뜻은? '서당개 삼년에 풍월을 읊는다'의 뜻은? 이 말은 한자 '당구삼년작풍월(堂狗三年 作風月)'에서 나온 말이다.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 뜻으로 알고 있다. 그리고 지금 우리는 이 뜻을 '뭔가 하는 집 옆에만 있어도 그것을 따라 할 수가 있다'는 정도로 알고 있다. 그러나 이는 말이 되지 않는 부.. 2009. 5. 26. 육경지기 1. 궐음(厥陰) ㄱ.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 - (巳) 수궐음(手厥陰) = 풍(風) - 심포(心包) = 화(火) ㄴ.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亥) 족궐음(足厥陰) = 풍(風) - 간(肝) = 목(木) ㆍ지성(知性)리듬 (3차 리듬) ㆍ명예(名譽), 지식(知識), 승부욕(勝負慾), 권력(權力), 자존심(自尊心) ㆍ맛=신맛(酸), 신맛은 수렴.. 2009. 4. 2. 오메가 3와 오메가 6 오메가 3와 오메가 6. 지방에 관해서 이제까지도 여러 가지 설( 說 )이 나왔다간 사라지는 상태가 계속되었습니다. 아주 섭취하지 않는 편이 좋다고 하는 설이 있었다가 혹은 유행적으로 식물성이라면 좋다고 하는 설, 생선이 좋다고 하는 설 등 [ 어떻게 하면 좋단 말이냐 ] 라는 물음을 발하고 싶을 정.. 2009. 3. 13. 구미호의 진실 (구미호) 꼬리아홉갈래 구미호(九尾狐)는 평화와 근본의 상징 단군초기 치세에 보면 '구미호'가 등장하는데.... (#) 태평성대에 온 세상이 평온하고 걱정이 없을때 입에 책을 물고 나타나는 신령스런 동물로 표현되어 있다 (#) 죽을때 그 근본을 잊지 않기위해 그 근본이 있는 곳으로 머리를 조아리고 돌.. 2009. 2. 20.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