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 주

왜 물이 오를까?

by 자연처럼 2008. 3. 31.

봄이 되어 산천초목에 물이 오른다는데...

왜 봄에 물이 오를까?

 

물이 올라야 꽃이 피고 새싹이 돗아 나겠지요.

솟아 올라오니까 영어로도 spring라 표현 하는데

왜 하필 봄에 그러느냐 이렇게 물으면 정말  답답한 물음이 되어 버릴려냐요? 

 

물 오르다  ① 봄에 나무에 물기가 스며 생기가 돌다.  ② 어렵게 지내던 사람의 형편이 펴이다

(야후 국어사전

 

왜 봄에 물이 오르냐는거지요.

물론 누구누구 탈랜드 연기에 물이 오른다느니 하여 봄에만 쓰는 것은 아니지만.. ㅎ ㅎ

대개 초목에 물이 오르고 자연에 생기가 돌 때 물이 오른다고 하지요.

 

겨우내 움추렸다가 기지개 피고 움직이기 시작하는 계절이 봄이지요.

이걸 짱구 굴려, 잔머리인지 큰머리인지 굴려 풀어 보자는 거지요.

 

동양에서 1년 365.25일을 五運과 六氣로 풀고 있는데 그 시발점은 대한(大寒)(1월 21일 전후)이지요.

오운은 대한에서 부터 73.05일 마다 5번(목화토금수) 운이 바뀌고

육기는 대한에서 부터 4절기(60.875일)마다 6번(궐음소음소양태음양명태양) 氣가 바뀌는거지요.

 

이 둘의 공통중 하나는 마지막이 水운 및 太陽(한,수)기로 水로 끝나는 거지요.

겨울기운을 응축되고 응축 된 물(水)로, 장(藏)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지요.

 

이 겨우내 얼어 있던 물이 어느 순간 녹아 오른다고 볼 수 있는 것이지요.

 

바람이 부는 풍 木運 때나  궐음氣에는 물이 오르지 않는거지요.

바람을 타고 물이 오르지는 않겠지요.

그러다 火運이 임하거나  君火 소음氣에 이르르면 화의 기운처럼 위로 오르겠지요.

물에 열을 가하면 끓어 오르듯이....

 

그럼 언제 화의 기운이 올까요.

오운중 화운이 시작하는 시기는 대한부터 73.05일후니까  4월 4일경

육기중 소음기운이 시작하는 절기는 춘분 3월 21일경 이니까, 

이때쯤 부터 물이 오른다고 볼 수 있겠지요.

맞나요?

이때는 바야흐로 산천 초목에 물이 오르는 봄이라 하겠지요.

 

식목일이 우연히 4월5일에 잡혔는지 모르나

오랜 경험상 나무 심기 적절하고 심은 나무가 잘 살아나니까 식목일을 그때 잡은 거지요.

지구 온난화라 식목일을 10일 정도 당겨야 한다는 소리도 뉴스에 나오던데...

 

물이 오르기 적절한 시기가

火운이 드는 4월초나 소음(火)기운이 드는 춘분(3/21)즈음이니 이때 나무를 심으면 물이 올라 잘 큰다

이런 말이되나요.

 

오운육기가 점이나 치는 그런데만 쓰는 것이 아니고

자연의 현상을 파악하여 기운의 변화를 오운과 육기라는 함축된 단어로 표현한 것이라 하겠지요.

 

 

'우 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석/ 견우 직녀 만나는 날  (0) 2008.08.07
천문지리인사 7정  (0) 2008.04.15
육갑하네/동방칠수  (0) 2008.03.25
생수(生數)의 성립과 5土의 자화(自化  (0) 2008.01.17
우주와 역의 원리  (0) 2008.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