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바로보기98 팔미 팔미지황환의 원전을 찾는 데 잘 안나와, 일단 두산백과 사전의 내용이 이 아래고....... 일반적으로 팔미에 군약으로 숙지황을 쓰는 데, 건지황을 쓰는 그룹이 있는데 군약이 건지황과 숙지황으로 되면 이들 약성이 지극히 다르기 때문에 다른 방제가 되는 거지요. 이럴 경우 육미지황환.. 2013. 2. 21. 보리 [쿠키 경제] 먹는 심장약으로 불리는 베타클루칸 함량이 쌀과 옥수수의 46배에 달하는 보리를 단순한 잡곡이 아니라 미래형 주곡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보고서가 나와 주목된다. 농촌진흥청은 21일 발표한 ‘보리의 생존전략: 식량부터 공익적 가치까지 팔방미인’ 제목의 보고서에서 .. 2012. 10. 17. 우유 우유의 진실 우유는 한국인에게 문제가 되는 식품이다. 우유 문제는 정말 복잡한 논쟁을 일으킬 수 있는 주제이다. 우유에 칼슘이 많으니 우유를 많이 마시라는 주장에는 문제가 많다. 소는 약 5kg으로 태어나 2년 후, 약 500~600kg으로 성장한다. 사람은 3kg 정도로 태어나, 2년 후 12kg으로 성.. 2012. 10. 17. 우유 먹어야 할까? 우유를 완전한 영양식품이라고 하여 또 칼슘이 많으니까 골다공증 예방을 위하여 많이 먹어야 한다고 나이 많은 어르신네들 한테 1~2리터/일 를 먹으라는 의사도 많다 과연 우유가 그렇게 좋을까?우리 한번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우유를 우리 말로 하면 소젖이지요 유식하기 표현하여 milk고 우유라 하지만.... 사람이 젖을 언제까지 먹는가?돌 지날때 쯤 까지, 이유식을 할 때 까지 ... 그렇지요. 젖이 고영양식인 이유는 짧은 시간에 애기가 커지라고 그런거지요. 맞지요.그런데 나이 든 사람들이 사람 젖을 먹는다면 아마도 노망 들었다 하지 않을까요?나이 들면 안먹는 거지요. 그러면 우유는 ...역시 마찬가지로 송아지가 빨리 커 소가 되라고 소가 만든 소젖이지요.그런데 이것은 나이 먹을수록 더 많이 먹.. 2012. 10. 16. 닭 많이 먹으면 방광염 달고 산다 서울공부중에 청혈탕 얘기가 나왔는데 여러 사람들이 말을 하더라구요. 보리를 볶는데 속안이 커피 잘 볶아 진것 처럼 노르스름하면서 갈색인 정도와 볶아야 한다고... 청혈작용과 소염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에 진물러 잘 안가라앉는 경우(만성염증), 아토피 좋다고 등등 얘기를 같이 공부 하는 사람들이 얘기를 하더라구요 어떤 경우 지나가는 소리로 보리차를 먹으면 좋다고 하니 청혈탕은 아니고 보리를 볶아서 먹었는데 3개뤌 지나니까 고혈압, 당뇨가 없어졌다고.... 보리차가 전세계적으로 제일 좋은 약알카리성 식품 이라는 거지요. 산성식품 많이 먹어서 오는 잘환이 각종 성인병이라... 알카리성 식품을 먹으니 좋아진다는 아주 간단한 논리인거지요. 그러구 보면 박정희대통령이 성인병의 원흉 인거지요. 새마을 운동에, 잘 살아보.. 2012. 10. 8. 치질 바로보기 치질 이라고 오면 사실 마땅하게 줄 양약이 별로 없어요 정맥류 치료용 제제 이외에, 연고, 좌제를 주는 수 밖에 없는데, 자칫 유명 치질좌제, 연고를 주면 싸니 비싸니 성질 돋구고 가지요. 치질이 왜 온 것인가를 생각해 보자는 것입니다. 정맥류가 생기고, 염증이 있고... 이런 서양의학.. 2012. 3. 23. 배 부르고 등 따시면....? 배 부르고 등 따시면 이 엄동설한에 부러울 게 없는걸까요? 그럼 배 고프고 등 시리면... 외롭고 서럽다던데요. 우리나라 고유 난방인 온돌방이 등 따시게 하는 거지요. 서양 사람들 등 따시다는 걸 이해 하지 못 하겠지요. 우리 온돌이 얼마나 절묘한 난방 법이냐는 거지요. 등 따신것은 .. 2012. 2. 3. 터널증후군 손목수근관증후군 손목부위에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과 신경이 지나가며 이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일종의 관(터널)이 있습니다. 손으로 들어가는 신경(정중신경)이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인 수근관(손목터널)에 눌려 신경이 압박되어손저림, 감각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 2011. 11. 10. 골골 80 골골 80년 산다고.... 말 그대로 골골 거리며 여기 저기 아프다고 그런 사람이 오래 산다는 얘기지요. 몸이 골골 거릴 정도로 약하다는 소리도 되지만 자신의 몸의 변화에 민감하다는 소리이기도 하겠죠. 기골이 장대한 사람은 어지간히 아픈 것은 아프다 하지 않지요 기가 세기 때문에 웬만한 것은 못 .. 2011. 10. 20. 수양명 대장경 수양명대장경 (手陽明大腸經) 대장(금,燥)으로 양명(燥)한 기운이 흐르는 경락입니다. 대장은 고실 고실 하니 조 해야 하는데, 지나치게 조하면 탈이 나는 것입니다(양명병) 오행상 금인 대장이니까 수(收) 하면서 내려보내는 작용을 한다고 보는 겁니다. 대장에서 수분 재흡수가 일어 나는 현대의학과 .. 2011. 10. 8. 인진 우수한 이담제라 저는 시호 쓰기 좀 거시기한 경우 인진호를 쓰는 편 입니다. 시호 보다 덜 차니까(微寒)..... 이담(이기)제는 간이 배 밖으로 나오려는 사람 쓰면 좋다는 얘기지요 (간양상항,肝陽上亢) 간이 콩알 만해진 사람도 쓰고....(간기울결,肝氣鬱結) 결국~ 아무나 다 쓰라구요? 양병약학(조원기, .. 2011. 10. 8. 석창포 단오날 창포물로 머리를 감는다는데, 왜 그럴까요? 단오가 음력 5월 5일이라 양력으로 6월중순경이 되지요. 1년중 양이 가장 성한 하지 때에 가깝고 생수중 가장 큰 수 5가 겹치는 날이라 양이 극성하다고 보는거지요. 그래서 이 양(陽)을 좀 누그러 뜨리려고 창포 물에 머리 감고 그런거 아닐까요? 더워.. 2011. 9. 14.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