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리랑118

DNA 이중나선 & 주역 생명의 설계도, DNA 이중나선 ‘콩 심은 데 콩나고 팥 심은 데 팥난다’는 속담은 문자 그대로 따져도 옳은 말입니다.   인간의 삶도 부모가 자식을 낳고 그 자식이 성장하여 또 부모가 되어 혈통을 이어갑니다. 그런데 동양철학에서는 흔히 인간을 소우주라고 말해왔으며, 자식이 부모를 닮듯이 인간.. 2008. 4. 12.
삼일신고 해설 . 우리의 훌륭한 상고사를 후손에게 분명히 넘겨주어야 한다 . 먼저 나의 역사를 소중하다고 하는 사람만이 또 나의 역사가 고달프고 즐거웠던 것을 . 다 포함 할줄 아는 사람만이 역사의 진가를 볼 줄 아는 것이다 . 이 역사 속에 우리의 삶과 문화와 예술과 정치와 풍속이 다 들어 있다 . 고로 우리는 .. 2008. 1. 24.
삼일신고가 전하여 온 내력 삼일신고가 전하여 온 내력 본 삼일신고(三一神誥)는 고구려의 멸망시, 그 유신(遺臣) 대조영이 민족의 경전(經典)인 신사기(神事記) 등을 품고, 말갈의 땅으로 도피하여, 발해국을 일으켜 세운 뒤, 지난 역사에 전란(戰亂)으로 민족의 경전이 없어진 경우를 생각하여, 항상 잘못될까 염려하던 중, 영원.. 2008. 1. 21.
삼일신고 (三一神誥, 366자) 삼일신고 (三一神誥, 366자) 1. 하늘에 대한 가르침(天訓 천훈, 36자) 한웅천왕께서 이르시되, 너희 오가의 무리들아! 저 파란 창공이 하늘이 아니며 저 까마득한 허공이 하늘이 아니다. 하늘은 얼굴도 바탕도 없고 시작도 끝도 없으며, 위 아래와 둘레 사방도 없고,비어 있는 듯 하나 두루 꽉 차 있어서 있.. 2008. 1. 21.
야속한 님 내면의 풍족함을 추구 하였던 우리 민족의 가락에는 한, 그리움, 사랑 등 겉으로 표현하지 못한 은근함과 삭힘이 스며 들어 있습니다. 일명 그늘이라 하여 가락에 이 그늘이 없으면 명창이라 할 수 없다지요. 내면에 쌓이고 쌓인 것을 삭히고 삭혀 표출 하는 소리.... 맑지 않으나 탁하지 않으며 삭힘의 .. 2008. 1. 19.
風流(머후리) 어울림의 또 다른 이름, ‘머후리’ 오늘날의 천문학에는 많은 도구들이 있다. 이런저런 망원경들이 있고, 거리와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도구들도 많이 있다. 지리학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지질을 분석하는 도구로부터 지층을 탐사하는 도구 등 너무나 많은 도구들이 있다. 그러면 옛 분들의 천문.. 2007. 11. 12.
아리랑에 담긴 혼 아리랑에 담긴 혼   아리랑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구전민요로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가장 널리 애창되고 있다. 아리랑은 ‘가슴의 노래다’. 아리랑은 배워서 아는 노래가 아니고 많은 사람들이 어렸을 적 가장 가까운 가족으로부터 이어받아 아는 노래다. 그래서 아리랑은 ‘한국인의 숨결’, ‘.. 2007. 4. 21.
아리랑 연주 아리랑-이생강(대금연주) 아리랑-풀모리아 Arirang-George Winston 18현과 25현을 위한 아리랑-숙명가야금 연주단 아리랑-유진박 ARIRANG(97 동계유니버시아드 폐막식 음악 中)-넥스트 2007. 4. 13.
한오백년 한오백년 살자면서 부르는 우리네의 한은 과연 무엇일까요? 한많은 이세상 야속한 님아 정을 두고 몸만가니 눈물이 나네 아무렴 그렇지 그렇구 말고... 한오백년 살자는데 웬 성화요~~~ 님에 대해 서린 한이 얼마나 많으면 한오백년을 살아야 풀어질까? 이 세상사 그런 님은 없을 것 이라오. 우리 민족의 한에 대한 얘기를 담은 노래...... 우리네의 한은 가슴 속 깊이 수 천년을 내려오며 담겨 있는 이 우리들의 한은 짧은 이생에서 이루지 못한 자기 영혼의 성장 자기 성찰의 이룸 하나님의 동경 십리를 못 가고 발병이 난 우리네 모습에 따른 (완성의 의미 '십리"를 못가고 이생을 마감하는 안타까움) 애끊는 소망, 애절한 마음을 한마디 단어 " 한 " 이라고 표현한 것은 아닐까요? 청춘에 짓밟힌 애끓는 사랑 이루지.. 2007. 3. 12.
아리랑 아리랑은 옛날부터 우리 민족이 흥이 날 때나, 괴로울 때나 함께 한 우리 민족 최고의 민요 이지요. 지방마다 가사나 빠르기가 다르게, 흥겹게 서럽게 부르는데 오랜 세월 불려지면서 소박한 삶이 담겨 있고 민족의 정신이 깃둘어 있는 민요라 하겠지요. 아리랑은 “아리랑 또는 이와 유사한 음성이 후렴에 들어있는 민요의 총칭”으로 남북을 통틀어 약 60여종 3천6백여 수에 이른다지요. 아리랑을 부르는 사람들은 슬픔과 기쁨을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알알이 맺힌 가슴속의 한, 응어리를 풀거나 기쁨을 표출하였지요. 우리민족에게 있어 아리랑이 무슨 의미가 있기에 이럴까 생각해 보았어요. 우리 민족을 포함한 여러 민족의 신화에서 민족의 시조는 "알" 에서 탄생하였는데 이 알은 우주를 표현하는 방편이라 하겠지요. 우주가 회전하.. 2007.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