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바로보기98 멸치 멸치의 똥! 제거하지 말고 먹어라! 왜? 멸치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칼슘(Ca)이다. 그것은 맞는 말이다. 멸치는 척추동물이다. 멸치는 작지만 뼈대 있는 집안이라고 우스개 소리를 자주 들었다. 그러나 멸치는 칼슘뿐만 아니라 칼슘보다 더 중요한 건강소가 함유한다. 멸치-똥 이다. 멸치는 가장.. 2008. 4. 29. 심뽀이야기 심보가 고약한 이야기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심보가 아주 고약한 놈이여.”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말을 자주하곤 합니다. 보다 속된 의미로 ‘심뽀’라는 단어를 쓰기도 합니다. 이것도 역시 한의학적인 용어가 우리말이 된 좋은 예입니다. 그런데 이러.. 2008. 4. 17. 맹물로 치유 약을 희석할수록 치유력이 강해진다? [조선일보] 2008년 01월 14일(월) 색깔도 맛도 없는 그저 보통 물인데 병이 치유되는 약효가 있다고 한다면 사람들이 믿어 줄까. 이 분야에 대해서 이해가 없는 사람들이 “맹물로 병을 치료하다니...” “말도 안 되는 소리” “터무니없는 과장” 이라며 의심을 한다.. 2008. 4. 15. 속이 편해지다 2008. 4. 2. 7 情이 氣라는 말이........ 지난 일요일 기회가 있어 라이브카페에 갔는데 라이브라고 해야 거창 한 것은 아니고 또한 비오는 날이라 그런지 손님이라 하여 우리 일행 6명이 전부 였지요. 동동주 한 잔에 김치전, 파전에 허기를 달래고 시간이 되고 분위기가 무르익어 전자피이노라고 하나 그걸 치면 노래를 부르는데..... 목소리.. 2008. 3. 26. 멸치(등푸른생선) 멸치가 등푸른 생선에 속 할까요? 등푸른생선에 DHA가 많이 들어 몸에 좋다는 것은 다 아는바라 언급하지 않고요. 대개 이 생선들은 회로 먹지 않고, 비린내가 많이 난다는 것이 공통점이려나요? 일례로 고등어회를 먹다보면 기름기가 많아 처음에는 고소한 것 같은데 느끼하여 많이 못먹겠더라구요. .. 2008. 3. 20. 약물귀경 약 물 귀 경 溫 凉 補 瀉 心 당귀,작약,오수유,육계,창출,백출,석창포 서각,생지황,우황,죽엽,주사,맥문동,황련,연교 원지,복신,천문동,맥문동,토사자,인삼,금박,은박 황련,고삼,패모,전호,울금 小腸 파극,회향,오약,익지인 모근,통초,황금,천화분,활석,차전자 모려,석곡,감초 총백,소자,속수자, 대황 肝 .. 2008. 2. 2. 퍼온글(일침) 일침 이구 삼약(一鍼二灸三藥) 이라는 유명한 말은 누구 나가 한 두번 정도는 다들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침과 뜸과 한약은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삼대 치료수단 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그 유래를 알아보지요... 먼저 일침 이구(一鍼 二灸)는 한 번 두 번을 뜻하는 것.. 2007. 12. 18. 천고마비[天高馬肥] 가을은 천고마비의 계절로 "하늘이 높고 말은 살찐다"는데... 정말 그런가요? 어릴적부터 수없이 들어온 소리인데 왜 그럴까요? 왜 가을 하늘이 높냐 이것입니다. 애국가에도 나오지요 가을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없이... (공활: 텅 비어 매우넓다) 지극히 당연한 것을 물어 보는 저의가 무어냐고요? 궁.. 2007. 10. 30. 천기누설 요즘 뉴스를 보면 배추가 금추가 되어 김치가 금치가 될 것 같아요. 배추에 관련하여 천기(?)에 해당하는 1급비밀을 공개할 까 하는데... 전한테만 1급비밀 일까요. 어릴 적 김장한다고 배추 1~200포기 정도는 했었지요. 대부분 대가족이고 한겨울 먹어야 하니까 그 정도는 해야지요. 그 시절에는 모르긴 .. 2007. 10. 26. 밥 많이 먹으면 미련해 진다 어릴적 자주 듣던 얘기로 밥 많이 먹으면 미련 해진다 말이 있는데 밥집을 바꾸었더니 밥을 꾹꾹 눌러서 고봉으로 갖다 주는데 먹고 나면 밥통이 꽉 찼는지 식곤증 까지는 아니더라도 좀 그래요. 그리고 저녁까지 든든한 것이 좋긴 한데....... 밥 많이 먹으면 미련해 진다는데 걱정아닌 걱정이 앞서요. .. 2007. 10. 18. 콧대 콧대는 콧구멍 속으로 외부 공기가 들어가는 통로의 길이를 결정해 줍니다. 콧대가 높으면 당연히 외부 공기가 들어가는 길이가 길어지고 낮으면 반대가 되겠지요. 우리 콧구멍을 통해 들어가는 공기는 허파로 들어가서 혈액 속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공기가 콧속을 통과해서 허파.. 2007. 9. 22.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