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쓴글57 화가 나서 붉으락 푸르락.........(160506) 화가나면 얼굴이 붉으락 푸르락 하는데 왜 그럴까요. 붉으락-푸르락 <부사> 성이 나거나 하여 얼굴빛이 붉어졌다 푸르러졌다 하는 모양. 붉으락푸르락-하다 <자동사><여불규칙활용> 사전을 보아도 화가 날때 얼굴에 열이 올랐다가 내렸다가 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 알수 .. 2008. 7. 1. 쓰다 만글 동양에서 氣味를 가지고 자연의 현상을 이해하는데 좁은 의미에서는 四氣五味를 얘기 하지만 氣味라는게 크게는 음양을 설명하는 것이라 하겠지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모두를 가지고 있다는 얘기가 되겠지요. 빛에 파동과 입자가 있는 것을 설명하는것과 다르지 않겠지요. 자연계에 존재하.. 2007. 7. 19. 8. 뽐뿌질 ? 옛날에 이런 뽐뿌가 집에 있었는데 도시에 산 경우 거의 구경을 못 했겠지요. 젊은 사람들은 구경도 못 했을까? 뽐뿌 위에 바가지로 물을 붓고 뿌걱뿌꺽 뽐뿌질을 하면 밑에서 물이 올라와 콸콸 쏫아 나오는 것이지요. 옛날 대학시절에 '이젠백'이라는 맥주가 새로 나와 한창 유행한 .. 2007. 7. 17. 4. 귀경 아직 귀성도 안했는데 왠 귀경이냐구요. 길이 많이 막히 것지요, 우리몸도 경락에 흐르는 기운이 많으면 기가 막히는 것이지요. 귀경길 정체 하듯이..... 동양의학을 공부 하다보면 흔히 나오는 단어가 귀경(歸經) 입니다. 본초(약재)를 설명 할 때 기미(氣味) 그리고 귀경인데 신농본초경.. 2007. 6. 2. 1. 천문 지리 인사 경락이야기를 듣고 싶은데 왠 천문지리냐구요? 사람이 소우지니까 일단 우주를 알아야 하고 그러려면 천문을 먼저 알아야 하겠지요 천문 지리가 뭘까요? 뭐 전문적인 깊이 있는 원리를 얘기하자는 게 아니고 한번 생각해 보자는 것이지요. 옛날 우리 선조들이 수렵생활을 하다 정착하여 농사를 짓고 살면서 농경사회가 발달하게 되었지요 언제 씨 뿌리고 또 어느 때가 되면 김 매주고 등등 소출이 많아지도록 노력하며 살지 않았겠습니까? 자연 자연에 의지해서 살 수 밖에..... 지금처럼 문명이 발달한 것이 아니라 유전자 조작을 해서 양산하지도 못했고 그저 요즘 얘기하는 토종 벼, 보리...등등을 가지고 저수지도 변변치 않아 천수답에 의지해서 하늘을 바라보고 살았던 것입니다. 불과 몇십년 전해도 얼마만의 가뭄으로 논바닥이 타.. 2007. 5. 19. 닭발에 소주 한잔 하고 몇년전 등산 갔다가 산을 내려 오다 다리가 뻑뻑하여 우스개 한 소리 했는데... 슬하(膝下)에 자식이 없어서 그런지 슬(膝) 아프다고 돌아가서 우슬(牛膝)을 먹어야 하나, 그랬더니 .... 웬, 도가니? 우슬이 소무릎 그럼 도가니인가... 그렇네 한약재 우슬을 얘기 한건데... 옛날에 다리가 부.. 2007. 5. 18. 허증이 많을까 실증이 많을까요?(20160524) 우리가 사람을 팔강(八綱- 음양, 허실, 한열, 표리)으로 진단 하는데 실증이 많을까요, 허증이 많을까요? 한번 생각해 봐요. 약국 하기도 바쁜데 그런 것까지... 하면 할 말 없구요 그러나 보사(補瀉)를 결정하려면 알아야 수순이긴 하지요. 오적산을 기본으로 하는 '김오적', 사물탕을 기본.. 2007. 4. 25. 과연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질까? 고래가 싸우면 과연 새우등이 터질까? 아님, 고래하고 새우하고 싸우면 누가 이길까? 이런 실없는 소릴 하고 싶은것이죠. 실제 고래가 싸우지 않는데 (고래가 자기들 끼리 자주 싸울까요?)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하니..... 그래 새우와 고래가 싸우는 것도 가상해 보자는것이지요. (할일 없다구요?) 고래 체중 동량의 새우와 고래가 싸운다면 말이 달라지지 않을까요? 고래와 새우를 보면 어느 것이 더 양(陽)적 일까요? 당연 새우겠지요. 새우를 보면 배쪽 보다 등쪽이 월등히 발달 하였지요. 우리 기준으로 보면 배가 홀쭉하여 거의 없다 싶이하죠. 임맥(-)보다는 독맥(+)이 발달 하였다 이것입니다. 배가 나온 사장은 느긋하지요(임맥이 발달)배가 곺아 배가 홀쭉 들러간 사람은 뭐라도 먹으려고 설치잖아요.헝그리 .. 2007. 4. 20. 3. 오운육기 & 경락 사람은 하늘과 땅 사이에 살고 있습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절대적 영향을 받는 것이 이 하늘과 땅이라 할 수 있고 이 하늘에는 태양과 달, 태양계의 행성과 우주에 있는 수 많은 별들이 있어 이들의 영향권에서 살지만 크게보아 하늘과 땅의 기운의 영향을 받으며 살고 있다고 보는 겁.. 2007. 3. 1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