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42

상열하냉(上熱下冷) 성인병이라 할 수 있는 고혈압, 당뇨병, 갑상선질환 등등의 원인이 많이 있겠으나 우리 몸에서 '상열하냉' 가 지속되는 것이 그중 한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우리말에 다리는 따뜻하여야 하고, 머리는 차가워야 한다 하지요. 배는 따뜻하고 머리는 시원해야 한다고도 하고요. 달리 표현하면 상냉하열의 .. 2007. 3. 8.
고향에 가면 왜 좋을까? 고향에 가면 왜 좋을까요?나서 자란 곳으로 어릴적 추억이 담겨 있고....어쩌고 등등이런 얘기가 맞는 얘기지만 다른 각도에서 엉뚱하게 한번 생각해 보았어요.어느날 내가 태어난 곳이 고향이겠지요.어느 한 생명이 00년 0월 0일에  아무 곳에서 태어 났다.이는 엄마의 뱃속에서 나와  그 시각 그곳에서 우주자연의 기운을 처음 접한다는 얘기가 되겠지요. 처음 접한 기운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준다고 보는 것이고요(사주팔자)사주팔자에 해당하는 시각만 영향이 있을까요?氣적인 면에서 보자면  풍수지리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예를들어 서울의 북아현동과 저 아래 전남 나주시가 같을 수 없겠지요.자신이 나온 곳의 기운에 우리 몸이 익숙하거나 영향을 받았겠지요.물론 어릴적 기억이 남아 있기에 고향이 좋기도 하겠으나우리 몸이.. 2007. 3. 8.
기가 막히면 아프다 기분이 좋은 이유 우리 몸과 마음에 불편함이 없는 경우 기분이 좋다는 말을 하겠지요. 기분이 나쁘다는 얘기는 몸과 마음 어딘가가 불편하고 좋지 않은 것을 얘기 하는 것이지요. 기분(氣分)이라는 글자를 보면, 기운 ‘氣’자에 나눌‘分’를 함께하여 '기분'이라하고 여기에 '좋다, 나쁘다'가 붙어 .. 2007. 3. 8.
자연스런 이야기 비가 오는날 새구두을 신고 걸어본 적이 있읍니까? 처음에는 비에 구두가 젖을세라, 흙탕물이 튈세라, 조심조심 걷느라 신경 쓰이고, 힘들고...... 부자연스럽게...... 그러다가 텀벙 흙탕물속에 발이 쑥 빠지고 나면...... 어떻습니까? "에라 될대라 되라, 기왕에 버린 구두 .." 하면서 맘편하게 두벅두벅 .. 2007. 3. 8.
아리랑 아리랑은 옛날부터 우리 민족이 흥이 날 때나, 괴로울 때나 함께 한 우리 민족 최고의 민요 이지요. 지방마다 가사나 빠르기가 다르게, 흥겹게 서럽게 부르는데 오랜 세월 불려지면서 소박한 삶이 담겨 있고 민족의 정신이 깃둘어 있는 민요라 하겠지요. 아리랑은 “아리랑 또는 이와 유사한 음성이 후렴에 들어있는 민요의 총칭”으로 남북을 통틀어 약 60여종 3천6백여 수에 이른다지요. 아리랑을 부르는 사람들은 슬픔과 기쁨을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알알이 맺힌 가슴속의 한, 응어리를 풀거나 기쁨을 표출하였지요. 우리민족에게 있어 아리랑이 무슨 의미가 있기에 이럴까 생각해 보았어요. 우리 민족을 포함한 여러 민족의 신화에서 민족의 시조는 "알" 에서 탄생하였는데 이 알은 우주를 표현하는 방편이라 하겠지요. 우주가 회전하.. 2007. 3. 7.
어른에 좋다고 애들도 좋을까? 애들은 왜 고기를 좋아하고 파 같은 매운것과 채소류를 싫어 할까요? 한번 생각해 보시지 않았나요? 학교에서 또 부모들이 골고루 먹어라 해도 애들은 편식을 하지요.... 이건 어쩌면 애들이 몸에서 원하는 걸 어른보다 솔직하게 취하고 있다는 증거인지도 모르지요 한번 생각해 보시지요. 일반적으로 .. 2007.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