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리랑118

거불단 환웅/단웅 홍익인간사상을 실천하며 사해제족을 가르친 단군왕검 거노중평 칼럼니스트 2012. 6. 6.
奇經八脈의 應用 第二章 奇經八脈의 應用 第一節 奇經과 八卦 1. 易卦와 六經 太極에는 陰陽이 있지만 動하지 않을 때는 無狀態이지만 動하면 陰과 陽이 區分이 되어 서로 補完하여가며 나뉘어 진다. 그러나 獨斷的인 陰과 陽은 存在하지 않는다. 太極이 分離하여 陰과 陽으로 되는데 이것을 兩儀라 하고 .. 2012. 3. 9.
일제 우리역사서 분서 일본의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는 초대조선총독에 취임하자, 1910년 11월부터 전국의 각 도.군 경찰서를 동원하여 1911년 12월말까지 1년 2개월 동안 전국 서적을 색출해서 '단군조선' 관계 고사서 등 51종 20여만 권의 사서를 수거하여 불태우고 한국의 역사를 왜곡하기 위한 전.. 2012. 1. 10.
세종 40권, 10년(1428 무신 / 명 선덕(善德) 3년) 6월 14일(을미) 5번째기사 유관이 단군이 도읍한 곳을 찾아내어 의혹을 없애주기를 상서하여 청하다 우의정으로 그대로 치사(致仕)한 유관(柳寬)이 상서(上書)하기를, “황해도 문화현(文化縣)은 신의 본향(本鄕)입니다. 스스로 벼슬을 그만두고.. 2012. 1. 9.
윤집궐중 논어20편 요왈 堯曰 요왈 咨爾舜 자이순 天之曆數 在爾躬 천하역수 재이궁 允執其中 윤집기중 四海困窮 사해곤궁 天祿永終 천록영절 舜亦以命禹 순역이명우 요 임금께서 말씀하셨다. 자, 그대 순이여.하늘의 曆數(역수)가 그대에게 있다. 그대의 중심을 다잡도록 하라. (그러지 못.. 2012. 1. 7.
堯典/서경 <堯典第一> SS虞,堯典01 昔在帝堯, 聰明文思, 光宅天下, 將遜于位, 讓于虞舜, 作堯典. 曰若稽古帝堯, 曰放勳, 欽明文思安安, 允恭克讓, 光被四表, 格于上下. 克明俊德, 以親九族, 九族旣睦, 平章百姓, 百姓昭明, 協和萬邦, 黎民於變時雍. SS虞,堯典02 乃命羲和, 欽若昊天, 厤象日月.. 2012. 1. 7.
삼일신고 삼일신고 원본 삼일신고 주해를 해놓은 블로그 입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naver.com/eloha2000?Redirect=Log&logNo=20062277504 2011. 10. 20.
곤지 곤지 1曰 袞旨 (方)뜻 지 '해'의 모양을 본뜬 글자. 해, 시간(時間), 명암(明暗) 등의 뜻을 나타냄. ㉠뜻(=指) ㉡조서(詔書) ㉢성지(聖旨: 임금의 뜻) ㉣맛 ㉤맛있는 음식(飮食) ㉥어조사(語助辭)(=只) ㉦맛이 있다 ㉧아름답다 2曰袞止 (法) 그칠 지 사람이 멈추어 선 발목 아래의 모양을 본떠 '머무르다', '그치다'.. 2011. 8. 20.
웬 떡이냐? 이게 웬 떡이냐 ...이 말이 어디서 나왔을까요? 누가 떡을 주었나요 아님 하늘에서 떡이 떡하니 떨어 졌을까요. 뜻이야 웬 횡재냐, 웬 수지맞는 일이냐 ... 이런 뜻이지요. 생각지 않은 좋은 일이 생긴 것이지요. 이때 떡이 떡일까요? 떡이라면 무슨 떡일까요? 답은 떡이 아니고 덕이라 해야겠지요. '덕 보.. 2011. 4. 1.
걍~ 이승 저승을 오가면 산다고 생각한 것이 우리 조상님들의 고유 사상였다고 볼수 있지요. 이승에서 지은 업을 소명 시키고자 거듭 태어나는 것이고 오가며 사니까 윤회한다고 하는 거구요. 업을 가지고 태어 나니까 원죄를 가지고 태어나는 거지요. 기독교에서 원죄를 얘기 하는데 아담가 이브가 에덴.. 2011. 3. 8.
천도 어떻게 하나 (2) ? 죽으면 저승사자가 와서 데려 간다는데 정말 데리러 올까요? 저승에서 이승으로 올 대는 자하거(紫河車)를 타고 紫미원에서 은河수를 건너 이승으로 온다면( 엄마 뱃속의 태반에 있다 나오니까) 갈 때도 이 역순으로 은하수를 건너 자미원으로 간다고 볼 수 있겠지요. 전설의 고향 이런 걸 보면 저승사.. 2011. 3. 4.
천도를 왜 해야 하나? (1) 저승 이승 할 때의 승 자를 탈乘을 쓴다네요. 저승에서 이승으로 올 때 타고 오는 것이 무엇이겠어요? 자하거(紫河車) 붉은안개차를 타고 온다는 거지요. 하를 물하 은하를 썼지만 원래는 안개 하를 쓴다네요. 그런데 안개 하를 찾을수 없네. 자하거가 뭐냐구요. 태반을 얘기 하는 거지요. 태반에서 태.. 2011. 2. 24.